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방의회가 사업 추진에 발목을 잡으면서 투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9일 충북도에 따르면 충주시의회는 최근 충북경제자유구역 4곳 중 1곳인 충주에코폴리스개발을 추진할 SPC(특수목적법인) 출자 승인을 보류했다.
도와 경제자유구역청, 충주시는 에코폴리스 개발을 위한 SPC 설립을 추진 중이다. 민간업체 75%, 충북도 15%, 충주시 10%의 지분으로 30억원을 들여 SPC를 설립해 에코폴리스 예정지 4.2㎢ 중 2㎢를 우선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시의회는 우선 개발하는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2.2㎢의 대체 부지를 확보하거나 당초 계획대로 전체 개발하겠다는 확약서를 출자 승인 조건으로 내걸었다. 경제자유구역의 또 다른 사업 지구인 청주 에어로폴리스도 1지구 부지조성비 예산 확보에 실패하면서 연내 착공계획이 물 건너갔다. 도의회가 지난달 도가 승인을 요구했던 청주공항 MRO 부지조성비 52억원을 전액 삭감했기 때문이다.
에어로폴리스는 1569억원을 들여 청주공항 일원 47만㎡에 1지구(항공정비·MRO)와 2지구(항공산업)로 나눠 개발하는 사업이다. 올 하반기부터 2016년까지 1지구를 개발해 MRO선도기업을 입주시킨 뒤 2020년까지 나머지 2지구를 개발할 계획이다.
청주시는 도의 예산지원과 별도로 청주공항 MRO 단지 사업비의 절반(529억원)을 시비로 투자하기로 결정했으며, 관련 예산 승인을 청주시의회에 요구할 계획이다.
하지만 시간이 많지 않다. 관련 법률에 따르면 3년 이내에 민간 사업자의 실시계획 승인 신청이 이뤄지지 않으면 경제자유구역 지정이 자동 해제된다. 지난해 2월에 지구 지정된 경제자유구역 개발에 남은 시간은 1년 3개월 뿐이다.
충북경제자유구역청 관계자는 “지방의회가 사업 추진에 대해 충분하고 정확한 이해를 못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쉽다”며 “정치적 논리 등으로 인해 사업이 지연되거나 무산돼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청주=홍성헌 기자 adhong@kmib.co.kr
시의회서 잇단 발목… 충북경제자유구역 개발 난항
입력 2014-10-30 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