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일부 업체 ‘교복’ 갈등… 업체들, 개별 구매 권고

입력 2014-10-30 02:11
입찰에서 낙찰된 업체에만 해당 학교 교복 판매권을 주는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 내년 시행을 앞두고 교육부와 업체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 업체가 학생들에게 학교주관 구매 대신 개별 구매를 권하는 마케팅을 벌이면서 교육부의 경고서한까지 등장했다.

교육부는 28일 한국교복협회와 에리트베이직, 아이비클럽, 스쿨룩스 등 교복업체에 “학교주관 구매제 취지를 왜곡하는 영업적 홍보를 자제하라”는 내용의 경고서한을 보냈다. 한 교복업체는 최근 ‘학교주관 구매는 필수가 아닌 선택입니다. 원단, 핏(fit) 직접 확인해 보세요’라는 문구와 함께 학교주관 구매를 선택하지 말라는 취지의 전단을 만들어 학생·학부모들에게 돌렸다. 학교주관 구매제 시행을 앞두고 이런 홍보 활동을 하지 말라고 교육부가 경고하고 나선 것이다.

교복 학교주관 구매제는 국공립 학교의 경우 학부모·교사 등이 참여하는 교복선정위원회가 주관하는 경쟁 입찰을 통해 공급업체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교복값이 비싸 학부모에게 부담이 된다는 지적이 계속되자 아예 학교가 나서서 공동구매를 하겠다는 취지다. 올해까진 학생들이 개별적으로 교복을 구입했지만 내년부터는 입찰을 거친 업체만 해당 학교 교복을 제작·판매할 수 있어 한 학교 학생들은 같은 업체 교복만 입게 된다. 입찰에서 탈락한 업체는 재고 판매도 할 수 없다.

업체들은 반발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시장점유율 상위 4개 업체 중 스마트에프앤디를 제외한 에리트베이직, 아이비클럽, 스쿨룩스 등이 포함된 ㈔한국교복협회는 “입찰에 실패한 교복 판매업자들이 줄줄이 도산할 것”이라며 “최저가 입찰만 강요해 ‘팔아도 빚’인 상황”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반면 학부모들은 이 제도로 교복 가격이 한 벌에 6만∼7만원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