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여야 지도부 회동] ‘1시간 원탁 회동’ 무슨 얘기… 개헌·전작권 연기 등 의견 교환

입력 2014-10-30 02:36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는 29일 ‘1시간 회동’에서 개헌과 전시작전권 전환 무기 연기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도 의견을 교환했다. 3자는 회동 뒤 15가지 논의사항을 공동 발표했지만 같은 회동 내용을 두고서도 곧바로 다른 해석을 내놨다.

우선 논란이 된 것은 개헌 문제였다. 여야는 당초 회동 공식브리핑에서는 이를 논의했다는 사실 자체를 공개하지 않았다. 하지만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대위원장은 기자들과 만나 “(개헌 얘기를) 했다”며 “근데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가) 그건 발표를 하지 말아달라고 했다”고 말했다. 김성수 대변인에 따르면 문 위원장은 회동에서 박 대통령에게 “개헌이 ‘경제 블랙홀’이 될 수 있다는 우려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라면서도 “경제에도 골든타임이 있지만 개헌에도 골든타임이 있다”고 했다. 또 문 위원장이 “내일(30일)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 개헌 얘기를 많이 하겠다”고 하자 박 대통령은 웃으면서 “그러시냐”고 받아넘긴 것으로 전해졌다.

반면 새누리당은 다소 다른 입장을 내놨다. 박대출 대변인은 “(새정치연합) 우윤근 원내대표가 개인 의원 자격으로 개헌 얘기를 좀 하겠다 들어달라고 하면서 본인 의견을 개진했다고 한다”며 “이완구 원내대표가 ‘그 얘기는 나중에 하자. 개헌 논의는 없었던 걸로 하자’고 제안을 해 이 부분은 발표하지 않는 것으로 정리가 됐다”고 설명했다. 문 위원장이 아니라 우 원내대표가 발언했다는 것이다.

여야는 또 “전작권 연기 요청과 관련해 동두천과 용산 주민들을 배려해달라는 요청이 있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공식브리핑 이후 이 부분에도 ‘주석’을 달았다. 김 대변인은 문 위원장이 “전작권 전환 무기 연기는 반드시 국회 동의를 받아야 한다고 굉장히 강조했다”고 전했다. 자칫 새정치연합이 전작권 전환 무기 연기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이는 듯한 모양새가 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수사기관의 사이버 감청 논란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양측은 발표에서 “문 위원장이 합법적 감청은 국가 유지에 꼭 필요하지만 그 범위를 넘는 과도한 감청은 절대로 허용돼선 안 된다고 요구했고, 대통령과 여당은 공감을 표시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새정치연합은 “우리가 강조하고자 했던 부분은 (사이버) 사찰 부분이 민주주의 위기라는 취지”라고 전했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