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에 대한 지원 방안이 획일적인 시설 개선보다 특색을 살리는 콘텐츠 중심으로 바뀐다. 중소기업청은 2017년까지 375개 특성화 시장을 집중 육성하는 것을 골자로 한 ‘개성과 특색 있는 전통시장 육성 방안’을 28일 발표했다. 정부는 전통시장 유형을 세 가지로 나눠 각 유형에 맞게 지원한다. 기존 문화관광형 시장에 도심골목형 시장, 글로벌 명품 시장을 추가했다. 도심골목형 시장 200개를 비롯해 문화관광형 시장 165개(기존 94개 포함), 글로벌 명품 시장 10개 등 모두 375개를 육성한다는 것이다.
도심골목형은 서울 통인시장의 도시락 카페, 수유시장의 도서관처럼 대표 브랜드 육성을 목표로 한다. 특화 상품 공동 브랜드화와 프랜차이즈화에 소요되는 비용, 신메뉴·레시피 연구개발, 상품 진열·포장 방법 개선, 직거래 판매 시스템 구축 등을 지원한다. 대표 점포 육성을 위한 업종별 전문 교육 및 자금·컨설팅도 연계 지원한다.
문화관광형 시장은 경남 통영의 동피랑별화마을이 인접한 중앙시장처럼 시장과 관광지를 연계한다. 대구 방천시장의 김광석거리와 같이 유명인을 주제로 한 테마거리도 만든다. 글로벌 명품 시장은 외국인 대상 빅데이터 분석 등을 통해 한류와 연계한 시장으로 키운다. 외국인 안내센터, 통역 가이드 배치 등 쇼핑 편의성도 높인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전통시장, 情빼고 확 바꾼다… 도심골목형·문화관광형 등 특화
입력 2014-10-29 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