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소속 경기도의회 의원들이 27일 새누리당 소속 남경필 지사의 사회통합부지사 파견 요청을 전격 수용함으로써 ‘경기도 연정(聯政)’이 본궤도에 올랐다. 우리나라 정치판에서 볼 수 없던 일이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선거 때마다 승자독식·패자불복이라는 악순환이 반복돼 우리 사회는 갈등의 연속이었다. 그런 폐단을 줄이려면 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끊임없이 제기됐다. 하지만 실천에 옮겨지지는 않았다. 이긴 쪽은 권력을 나누려 하지 않았고, 진 쪽은 다음 선거를 의식해 트집잡기에 집중했다. 여야의 대립은 비효율적인 정치로 이어졌다. 그래서 경기도 연정의 성사는 참신하다. 또 우리 정치사에 큰 족적을 남기게 됐다는 평가를 받기에 충분하다고 하겠다.
경기도 연정이 이뤄지기까지 우여곡절이 없었던 건 아니다. 남 지사는 지방선거운동이 한창이던 지난 5월 부지사를 포함해 주요 직책에 야당 인사를 기용하겠다고 공약했고, 당선된 이후 사회통합부지사 추천을 야당 도의원들에게 제안했다. 그러나 야당 도의원들은 지난 8월 표결을 통해 이를 거부했다. 남 지사는 포기하지 않고 “새해부터 함께 뛰자”며 진정성 있는 자세를 보였고, 이에 야당 도의원들은 재표결을 실시해 사회통합부지사 파견이라는 당론 변경으로 화답했다. 이로써 5개월여의 줄다리기 끝에 비록 지방정부이지만 최초로 연립정부 구성을 목전에 두게 됐다.
앞길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이다. 벌써부터 신경전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도는 사회통합부지사 산하에 보건복지국, 환경국, 여성가족국 등을 둘 계획이라고 밝힌 반면 야당 도의원들은 사회통합부지사 산하에 어떤 실·국이 맞는지 협상하겠다고 했다. 누가 사회통합부지사로 적임자인지를 놓고도 마찰이 빚어질 소지가 있다. 야당 소속의 사회통합부지사가 활동을 시작하더라도 반목으로 인해 연정이 깨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큰 흐름이 잡힌 만큼 대화를 통해 이견들을 해소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정부와 여야는 상생과 협력의 정치로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겠다는 남 지사와 야당 도의원들의 결단을 눈여겨보며 자성해야 한다. 걸핏하면 싸움질을 일삼은 탓에 정치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매우 깊어진 상태다. 신뢰를 회복하려면 경기도에서처럼 서로 소통하고 배려해야 한다. 정부·여당은 야당과 권력을 나누는 게 필요하고, 새정치연합은 비판만 하지 말고 때론 정부·여당에 적극 협력하는 태도를 취하는 게 바람직하다.
[사설] ‘경기도 聯政’ 상생과 협력의 정치 기대한다
입력 2014-10-29 0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