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일예배와 소그룹모임은 한국교회 공동체를 형성하는 두 축이다. 주일예배가 하나님과 신자 사이의 수직적 관계의 현장이라면 소그룹모임은 만인제사장직에 근거한 목회자와 신자의 수평적 관계의 현장을 말한다.
건강한 교회는 이 ‘두 날개’가 튼튼해야 한다는 것이 최근 목회의 흐름이다.
27일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동백죽전대로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웨신대)에서 개최된 ‘소그룹 목회 학술 세미나’에서는 건강한 모교회를 만들기를 위한 소그룹모임 강점 등이 소개됐다. 특히 이날 세미나에선 셀모임, 목장, 가정교회, 순모임, 구역 등으로 불려지는 소그룹이 목회 트렌드가 아니라 엄연한 신학·성경적 배경을 갖춘 역사적 산물이라는 점이 강조됐다.
박은조 은혜샘물교회 목사는 소그룹 목회의 관건은 담임목사의 변화로부터 시작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전까지 성도는 담임목사의 목회를 돕는 사람이었으나 이제는 엄연히 목회자의 동역자”라며 “개신교의 핵심 가치인 만인제자장직을 믿는 목사라면 성도를 동역자로 세워야 건강한 교회가 된다”고 단언했다.
박주성 국제제자훈련원 총무는 “사랑의교회 제자훈련은 목회자의 일방적 가르침에 익숙한 목회 현장에 성도의 이야기를 통해 서로에게 배웠던 시도였다”며 “이는 현대 그리스도인의 욕구를 만족시켜줄 뿐 아니라 목회자로 하여금 (성도들의 귀에) 들리는 설교를 하도록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소그룹목회에 대한 큰 그림을 그리는 게 중요하다”며 “일관성 있는 양육 체계를 구축해 지속적인 훈련을 실시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권문상 웨신대 소그룹목회학과 교수는 소그룹이 교회 공동체 결속력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했다. 권 교수는 “담임목사 수준만큼 평신도 지도자를 복제(cloning) 하는 게 중요하다”며 “소그룹 강화를 위해서는 진정한 기독교 정신, 참된 신앙, 충성된 헌신으로 묶여진 종말론적 공동체가 소그룹이라는 인식을 반복 교육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소그룹 내에서의 공동식사와 1박2일의 공동생활 체험 등을 결속력 강화의 핵심 요소로 꼽았다.
소그룹 목회는 한국 기독교회사 속에서도 찾을 수 있다. 이상화 드림의교회 목사는 “1903년 토마스 하디 선교사는 ‘조사’라 불리는 소그룹 리더를 임명해 교회를 이끌었다”며 “특히 네비우스 선교정책에 따라 조사를 통한 소그룹 교육은 더욱 중요해졌고 이것이 복음을 전하는데 매우 유용한 신앙 훈련 방법으로 자리 잡았다”고 말했다.
용인=글·사진 신상목 기자 smshin@kmib.co.kr
성도를 목회 동역자로 세워야 건강한 교회
입력 2014-10-28 03: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