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여의도 국회 새누리당 원내행정국에서는 보기 드문 광경이 벌어졌다.
오는 31일과 다음 달 3∼5일 실시되는 국회 대정부 질문을 앞두고 ‘탁구공 제비뽑기’가 열린 것이다. 초재선 의원들이 너도나도 “대정부 질문을 하겠다”고 나서자 원내 지도부는 결국 추첨으로 질문자를 정했다.
정기국회 기간 중 대정부 질문은 의원들의 자발적 참여가 높은 편이다. 그런데 올해는 유난히 경쟁이 치열했다고 한다. 정치, 외교·통일·안보, 경제, 교육·사회·문화 등 총 4개 분야로 나뉘어 진행되는 대정부 질문 가운데 경제와 교육·사회·문화에 신청자가 유독 많았다. 분야당 여당 몫이 6명인데 교육·사회·문화는 15명이, 경제는 무려 20명이 지원했다. 경쟁률이 3대 1을 넘어섰다.
지난 6월 임시국회 때는 대정부 질문을 하겠다는 의원이 없어 원내 지도부가 “초선들은 다 뭐 하느냐”며 압박할 정도였다.
일단 원내 지도부는 재선 이상 의원들에게는 “다음번에 하는 게 어떻겠느냐”고 1차 정리를 했다. 초선도 설득했지만 “몇 개월 전부터 준비했는데, 이번이 아니면 안 된다”는 대답이 돌아왔다. 조정에 실패하자 결국 탁구공에 번호를 써넣고 추첨을 통해 결정하기로 했다. 교육·사회·문화 분야의 경우 선수(選數)로 확정된 3명을 제외하고, 1·2·3이라 쓰인 탁구공을 잡은 의원이 당첨됐다. 추첨은 의원 본인이 아니라 보좌관들이 ‘대리’했다. 이들은 아무 숫자도 없는 탁구공을 잡을까 전전긍긍했다. 반면 내심 떨어지기를 바라는 이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국정감사가 마무리돼 한숨 돌릴 만한데 대정부 질문 원고를 쓰려면 또다시 철야근무를 각오해야 하기 때문이다. 탈락한 보좌관들의 표정이 되레 밝았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새누리당 원내행정국 관계자는 26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대정부 질문을 하고 나면 지역구에 의정보고서를 돌릴 때 유리하고 지역 민원을 챙겨줄 기회도 된다”며 “이제 초선 의원들도 국회 돌아가는 메커니즘을 잘 알게 된 것 같다”고 귀띔했다. 새누리당은 이날 대정부 질문 의원 24명의 명단을 확정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여의나루] 대정부질문 “줄을 서시오∼”
입력 2014-10-27 03: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