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이 당청 관계를 수습하느라 진땀을 쏟고 있다. 당 지도부는 개헌에 대해선 아예 입을 닫고, 공무원연금 개혁의 고삐는 바짝 조이는 등 납작 엎드린 모습이다.
당청 갈등을 증폭시키는 듯한 야당에 대해선 공개적으로 경고를 보냈다.
김무성 대표는 23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당청 갈등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최근 야권의 주요 인사들이 대통령을 비난하고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갈등을 부추기는 이야기를 많이 한다”면서 “정치 공세성 발언이 금도를 벗어났다고 생각해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다. 이군현 사무총장도 “분란을 조장해 반사이득만으로 바닥으로 치달은 지지율을 끌어올리려는 기회주의적 정치공세를 중단하라”고 가세했다.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박지원 의원 등이 월권, 삼권분립 무시, 독재, 긴급조치 등의 단어를 사용하며 청와대를 공격하자 적극 방어에 나선 것이다. 새정치연합이 당청 갈등을 침소봉대해 아전인수 격으로 활용하는 상황을 더 이상 두고 보지 않겠다는 의미도 담겼다.
새누리당은 공무원연금 개혁에 속도를 내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확인했다. 우선 김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 전원이 공무원연금법 개정안을 공동 발의하기로 했다. 정부입법으로 하면 입법예고, 국무회의 등 기본절차만 두 달 넘게 걸리는 점을 감안한 조치다. 김 대표는 “‘해야 할 일’이라고 결정한 이상 의원 모두를 설득하겠다”고 강조했다.
새누리당 공무원연금 개혁 태스크포스(TF)는 이날 첫 회의를 열고 연금학회안과 정부안, 당 경제혁신특위에서 마련한 안을 검토했다. 연내 처리를 목표로 삼은 만큼 적어도 다음달 중에 최종안을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특위 위원인 김현숙 의원은 TF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국민 앞에 내놓는 당정의 마지막 완성된 안이 될 것”이라면서 “매일 수시로 만나 논의하겠다”고 각오를 다졌다.
청와대는 더 이상 공개적으로 압박하지 않는 분위기다. 이미 당에 ‘연내 처리’ 의사를 확실하게 전달한 만큼 앞으로는 당청 간 물밑 조율에 주력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당청 간 엇박자가 또다시 드러날 경우 야당에 빌미만 줄 수 있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권지혜 기자 jhk@kmib.co.kr
납작 엎드린 與… 개헌 문제엔 입닫고 공무원연금 개혁 고삐
입력 2014-10-24 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