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기잡기로 당 안정에 기여

입력 2014-10-23 02:16
문희상 새정치민주연합 비상대책위원장이 22일 취임 한 달을 맞아 국회 당대표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당 개혁 방안 등을 설명하고 있다. 구성찬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이 위기에 처한 당을 구하기 위해 ‘구원투수’로 나선 지 22일로 한 달을 맞았다.

문 비대위원장은 취임 초기부터 ‘군기잡기’를 통해 당을 정비하고 지도부의 권위를 세우는 데 힘써왔다. ‘포청천’이라는 이미지를 활용해 잡음을 최소화했다는 평가다. 당내에서는 문 비대위원장의 노력으로 당이 어느 정도 안정을 찾을 수 있어 일단 성공적이라는 긍정적인 시각이 다수다. 하지만 향후 계파 갈등을 어떻게 최소화하면서 최대 과제인 차기 전당대회를 무리 없이 치르느냐가 최대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 비대위원장은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당대회의 공정한 관리에 방점을 찍었다. 그는 “당 재건의 요체는 국민 신뢰를 받을 수 있는 차기 지도부를 선출하는 것이고, 이를 위해 공정한 전당대회를 준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비대위원 중 차기 전대 출마자가 다수 거론되는 것에 대해 “(비대위원 중) 한두 분은 나갈 것 같다”면서도 “다만 (비대위원으로) 계시는 동안 공정성을 흐리는 행위는 안 하겠다 약속했고, 만일 그럴 경우 윤리위에 회부돼도 좋다고 한 만큼 불공정한 일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그는 안철수 전 공동대표에 대해 “비대위 구성 당시 안 전 대표를 모시려 했다”며 “(그때는) 안 오신다고 했지만 지금도 문을 열고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안 전 대표가 비대위에 참여하지 않고 조직강화특별위원회에서 측근인 송호창 의원을 배제하는 등 당과 거리를 두는 것 아니냐는 논란을 불식시키려는 발언으로 풀이된다.

그는 온·오프라인을 총동원해 당원 배가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밝혔다. “돈 몇 푼이라도 내는 사람은 더 각별한 애정을 갖고 당에 헌신하고 참여한다”며 “그분들을 조직화하는 것이 정당의 기본 책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눈사람을 만들 때 연탄재로 단단하게 먼저 만든 다음 굴려야 눈사람이 크게 되는 것이지 그 과정이 없으면 눈사람을 못 만든다”며 “그 (연탄재) 역할을 하는 것이 진성당원, 권리당원”이라고 덧붙였다.

임지훈 기자 zeitgeist@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