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주체사상 지침서인 ‘강철서신’의 저자 김영환(사진) 북한민주화네트워크 연구위원이 “통합진보당처럼 폭력혁명을 추구하는 정당을 인정할 경우 (북한을 추종하는) 주사파 당원들에게 잘못된 사인을 주게 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
김씨는 21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통진당 정당해산 심판사건 16차 변론기일에 법무부 측 증인으로 출석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석기 의원을 중심으로 한 민족민주혁명당(민혁당) 산하 경기남부위원회는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한번도 해체한 적이 없다”며 “이들이 민주노동당(통진당 전신)에 가담하는 과정을 보면 민혁당 때의 노선과 방침을 따르지 않나 추측된다”고 말했다. 주체사상을 추종하는 민혁당 잔존세력이 통진당에 입당해 폭력적 혁명이론을 계승하고 있다는 주장이다. 지하혁명조직 RO(Revolutionary Organization)의 존재를 제보했던 A씨도 증인으로 출석해 “(통진당 핵심세력인) 경기동부연합은 목적 달성을 위해 폭력까지도 불사하는 조직”이라고 말했다. 통진당 측 대리인은 “김씨는 97년 민혁당 해체 이후 당 핵심인사들과 만난 적도 없다”며 김씨의 주장은 추측에 불과하다고 반박했다.
김씨는 89년 북한 노동당에 입당하고, 91년 북한을 방문해 김일성 당시 주석을 만나는 등 80∼90년대 주체사상파 운동권의 대부로 통했다. 그가 펴낸 강철서신은 주체사상 지침서로 쓰일 정도로 유명했다. 김씨는 민혁당 창당을 주도했으며 99년 구속됐다가 전향한 뒤 풀려났다.
김씨는 90년대 지방선거와 총선에서 북한의 자금이 선거비용으로 쓰였다는 주장까지 내놨다. 김씨는 “95년 지방선거 당시 성남과 구로 지역에 통진당 김미희·이상규 후보(당시 무소속)가 각각 출마했다”며 “민혁당에서 한 명당 500만원씩 자금을 지원했는데 이 자금 중에는 북한에서 지원받은 40만 달러도 있다”고 말했다. 당시 북한이 남한 내 합법적 진보 정당 건설에 적극적으로 나섰고, 이 과정에서 북한의 자금이 쓰였다는 주장이다. 통진당 홍성규 대변인은 “김씨의 주장은 모두 허위사실”이라며 “위증과 명예훼손에 대한 대가를 치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현수 기자 jukebox@kmib.co.kr
“1995년 지방선거 때 北 자금 쓰였다” 강철서신 저자 김영환
입력 2014-10-22 03: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