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11월 베이징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 한·중 정상회담을 갖는다.
탕자쉬안(唐家璇) 전 중국 외교담당 국무위원은 21일 청와대에서 박 대통령을 만나 “박 대통령은 보름 뒤 베이징에 가서 APEC에 참석한다”며 “그때 시 주석과 양자적인 중요한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 대통령은 한국의 정상일 뿐만 아니라 우리 중국에서 존경을 많이 받는 귀한 손님, 중국 국민에게 친근감을 많이 주는 친구”라며 “우리 중국에서 대통령님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탕 전 국무위원과의 면담에서 한·중 관계 발전방안을 논의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 자리에서 제2차 고위급접촉 제안 등 남북대화를 위한 우리 정부의 노력을 설명하고, 북한이 진정성 있는 대화에 나설 수 있도록 중국이 협력해줄 것을 거듭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울러 비무장지대(DMZ) 세계생태평화공원 등 정부의 구상에 중국이 동참해줄 것도 요청했다.
탕 전 국무위원도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중국이 앞으로 건설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탕 전 국무위원은 1992년 한·중 수교 당시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를 역임한 인물이다. 그는 2008년 중국 정부 내 외교 분야 실무사령탑인 국무위원(부총리급)을 마칠 때까지 장기간에 걸쳐 한반도 문제를 담당해 왔다. 박 대통령과 그의 만남은 이번이 7번째다. 박 대통령은 한나라당 대표 시절이던 2005년 중국 방문을 시작으로 그동안 6차례 만나 북한 문제를 논의하면서 깊은 인연을 이어왔다. 탕 전 국무위원은 제14차 한·중 지도자포럼 참석차 방한했다.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방한한 야치 쇼타로(谷內正太郞)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과 비공개 면담했다. 지난 1월 출범한 일본 국가안전보장회의(일본 NSC)의 사무국인 국가안전보장국의 초대 국장인 야치 국장이 한국을 찾은 것은 처음이다.
야치 국장은 김 실장과의 면담에서 일본의 안보 정책을 설명하고 집단자위권 행사와 관련한 구체적인 추진 동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 실장은 ‘한반도 안보 및 우리 국익에 영향을 미치는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는 우리 요청·동의 없이는 이뤄질 수 없다’는 기본 입장을 다시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야치 국장은 특히 한·일 정상회담 개최 문제를 다시 한번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총리는 모리 요시로 전 총리를 통해 지난달 박 대통령에게 전달한 친서에서 정상회담 개최 희망 의사를 표명한 바 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한·중 정상, 11월 베이징 APEC서 또 만난다
입력 2014-10-22 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