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가 20일 수능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을 앞두고 공청회를 열었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이 8월 수능 영어 절대평가 방침을 밝힌 이후 처음 열린 공청회다. 절대평가 도입 방안을 연구해온 연구팀은 영어 성적 등급을 4∼5개로 구분하는 안을 비중 있게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현재 중학교 3학년이 대학에 진학하는 2018학년도부터 수능 영어 절대평가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
공청회에서 최대 쟁점은 등급 구간을 몇 개로 나눌지에 관한 것이었다. 중앙대 강태중 교수는 “학교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설정하는 게 합리적이고 현실적”이라며 4∼5개 등급안을 제시했다. 현재 학교에서는 ‘5개 등급’을 적용해 학생생활기록부 등에 적용하고 있다. 그는 “절대평가 취지를 살리려면 등급 수는 많아야 5개 정도가 합리적”이라고 밝혔다. 다른 영역과의 균형을 위해 현행 ‘9개 등급’도 고려할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9개 등급’의 경우 절대평가 취지를 살리기 어렵다고 덧붙였다.
한국교육평가학회장 출신인 한국외대 김신영 교수 역시 ‘5개 등급제’에 손을 들어줬다. 김 교수는 “현재 학교 현장에 적용되는 ‘5개 등급제’를 도입해 교육과정 운영과 수능을 연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서울대 권오현 입학본부장 역시 대학 입장에서도 절대평가 방식의 ‘5개 등급’을 선호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계명대 박찬호 교수는 현행 수능 체제와 같은 ‘9개 등급’과 ‘4∼5개 등급’ 외에 ‘2∼3개 등급’ 안을 추가로 제시했다. 이는 ‘합격·불합격’ 판정만 가능토록 하는 것이어서 장기적으로 수능이 ‘자격고사’로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하는 안이다.
또 등급 구간을 나누는 기준 점인 ‘분할 점수’ 방식도 쟁점이 됐다. 박 교수는 100점 만점에 기준 점수를 두고 ‘수·우·미·양·가’처럼 등급을 산출하는 ‘고정 분할 점수 방식’에 난이도를 고려해 2∼3점 범위 내에서 등급을 조정하는 혼합 방식을 유력하게 언급했다. 교육부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이달 말 두 차례 더 공청회를 연 뒤 올해 안에 수능 영어 절대평가 방안을 확정해 발표할 예정이다.
김유나 기자 spring@kmib.co.kr
수능 영어 절대평가 등급 4∼5개 유력
입력 2014-10-21 03: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