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서아프리카에 파견할 에볼라 대응 의료진에 미국의 훈련 방식을 도입해 철저히 사전교육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이들이 에볼라에 감염될 경우 ①현지에서 치료하거나 ②비행거리가 짧은 미국·유럽으로 옮기거나 ③국내로 후송하는 방안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구체적 교육·훈련 방식이나 국내 후송 시 2차 감염 예방책은 아직 뚜렷이 내놓지 못하고 있다.
◇누가 언제 어디로 가나=정부는 파견인원 선발과 관련해 ‘자발성’과 ‘전문성’을 강조했다. 국내에는 에볼라 환자를 치료해본 의료인이 없다. 파견을 원하는 감염내과 의사 중 에볼라처럼 체액·혈액으로 전염되는 감염병을 다뤄본 이들을 선발할 계획이다.
다음달 초 출발할 선발대는 의료진을 포함해 외교·국방·복지부 관계자 등 6∼7명으로 구성된다. 파견지로는 보건인력 수요가 가장 높은 라이베리아와 시에라리온이 우선 검토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20일 “선발대는 본대의 의료 활동에 필요한 현지 상황을 점검하고 현재 활동 중인 다른 나라 인력과 어떻게 협력할지 파악하는 역할”이라고 말했다. 본대에는 민간 보건인력과 함께 군의관, 간호장교 등 국방부가 자체 선발한 군 보건인력도 포함될 전망이다.
파견단 교육은 국립중앙의료원이 맡기로 했다. 정부는 “세계보건기구 등이 마련한 표준지침에 근거해 감염학회 전문가들과 함께 파견 의료진을 대상으로 철저한 사전 교육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교육 일정과 방법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에볼라 감염 예방책 위주의 훈련이 이뤄질 것으로 알려졌다. 고려대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국경없는의사회는 2주간 철저히 현지 대응 교육을 실시하고 파견하는데 그래도 감염자가 나온다”며 “현지 실정에 맞는 교육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감염자 발생할 경우 어떻게=파견자들은 교대 등을 위해 귀국할 경우 에볼라 바이러스의 최대 잠복기인 21일 동안 현지 또는 제3의 장소에서 격리 상태로 지내게 될 가능성이 크다. 감염이 확인될 경우 현지에서 치료하거나 가까운 선진국 의료기관에서 치료하는 방안이 우선 검토될 전망이다. 이 경우 방역항공기 확보 여부, 환자 상태와 비행 소요 시간 등이 고려 대상이 된다.
물론 본인이 원할 경우 국내 후송도 추진된다. 입국 시 감염자는 전국 17개 국가지정 격리병원 중 도착 공항과의 거리 등을 감안해 가장 적합한 곳으로 옮겨 치료를 받게 된다. 정부 관계자는 “에볼라는 호흡기 전파가 아니어서 굳이 음압병상이 필요하진 않지만 만약의 사태까지 대비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정부가 좀 더 확실한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한림대 의대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격리병상뿐 아니라 외국과 협의해 지맵(ZMapp) 등 치료백신도 구비하고 2차 감염 상황에 대비한 백신 확보도 검토해야 한다”며 “감염된 의료진의 국내 후송에 반대하는 여론이 일 경우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확실한 입장이 정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한국 ‘에볼라 대응팀’ 파견 어떻게… 감염병 치료 경험 있는 자원자 위주로 선발
입력 2014-10-21 03: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