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사망자 5명 중 3.9명은 화장(火葬)을 한 것으로 집계됐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전국 화장률이 76.9%로 20년 전인 1993년(19.1%)보다 4배 이상 증가했다고 20일 밝혔다.
화장률은 2005년 52.6%로 매장률을 넘어선 이래 매년 3% 포인트 증가하고 있다. 복지부는 2∼3년 후엔 화장률이 선진국 수준인 80%에 도달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사망자 성별로는 남성이 80%, 여성이 73%였고 연령별로는 20대가 99.5%, 60대 이상은 72.6%였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89.2%로 가장 높았고 인천(87.8%) 울산(84.4%) 서울(84.2%) 순이었다. 기초단체 중에는 경남 통영시(96.2%) 경남 사천시(95.7%)가 매우 높았고, 전남 장흥군(31.5%) 경북 영양군(33.6%) 충남 청양군(35.6%) 등이 평균에 크게 못 미쳤다. 화장률이 낮은 곳은 대부분 아직 화장시설이 갖춰지지 못한 상태였다.
현재 전국에서 운영되고 있는 화장시설은 55곳이다. 강원 강릉, 전남 목포, 전북 정읍, 경북 문경·구미에서 내년 완공을 목표로 화장시설 신축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복지부 관계자는 “고령화, 분묘 관리 문제, 매장 공간 부족 등의 이유로 화장률은 더 증가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
2013년 사망자 5명 중 4명 ‘화장’
입력 2014-10-21 0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