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틀째 계속된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의 해양수산부 및 해양경찰청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는 세월호 참사 당시 선원과 해경 관계자들의 무능한 대처가 도마에 올랐다. 그러나 해당 증인들은 잘못을 시인하지 않고 ‘모르쇠’로 일관하거나 ‘적반하장’격으로 변명에만 급급해 공분을 샀다.
국회 농해수위 회의실에서 16일 열린 국감에는 세월호 소속 강원식 1등항해사, 김영호 2등항해사, 신정훈 세월호 1등항해사(견습), 김형준 해경 전 진도VTS 센터장, 김경일 123정장 등이 증인으로 출석했다. 세월호 이준석 선장 등 4명의 핵심 증인은 동행명령권까지 발부됐지만 끝내 나오지 않았다.
새누리당 안효대 의원은 사고 현장에 가장 먼저 출동한 김 정장을 상대로 “도착 당시 퇴선명령을 내린다든가 선내에 진입했어야 했는데 하지 않았다”며 “123정이 적극적으로 구조 활동을 했다면 수백명의 승객이 구조됐을 것”이라고 따졌다. 같은 당 경대수 의원도 “123정장이 탈출명령만 제대로 내렸어도 아까운 희생은 없었을 것”이라고 가세했다.
김 정장은 “최선을 다해 현장으로 이동했다”며 “당시 구조를 요청한 사람은 다 구조했다. 못 봐서 (구조를) 못했을망정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가라앉는 세월호 선박 창문으로 안에서 피해자 수십명이 내다보고 있었다”며 “그걸 깨기만 했어도 수십명은 구할 수 있었다”고 아쉬워하기도 했다. 답변을 들은 희생자 유가족들은 “다 구하기는 뭘 구했다는 것이냐”며 거세게 항의했고, 일부는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강원식 1등항해사는 승객을 구하지 않고 선원들이 먼저 탈출한 데 대해 “죄송하다”고 했다. 그러나 퇴선명령 등 선내방송과 관련한 질문에는 오락가락 회피성 발언만 했다. 강 항해사는 안 의원 질의에 “선장이 탈출 명령을 내렸는지는 모르겠다”고 했다가 같은 당 이종배 의원 질문에는 “선장이 퇴선 명령을 하는 걸 들었다지만 누구에게 정확히 했는지는 모르겠다”고 말했다.
선원들은 선내 대기 방송에 대해서는 서로 책임을 떠넘겼고 불리한 질문이 나올 때는 “경황이 없었다” “상황이 긴박해 다른 생각을 못했다” “기억이 안 난다”며 얼버무렸다.
새정치민주연합 박민수 의원은 “이 선장을 비롯한 세월호 선원들은 승객 구조는 해경 몫이라고 일관되게 주장하고 있다”며 “자신들만 살아서 다 도망을 나오고도 그렇게 뻔뻔하게 말할 수 있느냐”고 질타했다.
전웅빈 기자 imung@kmib.co.kr
[2014 국정감사] 변명급급 해경 “구조요청한 사람은 다 구했다”
입력 2014-10-17 03: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