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을 방문 중인 새누리당 김무성(사진) 대표가 개헌 논의와 관련해 “정기국회가 끝나면 봇물 터질 것”이라며 “한번 봇물이 터지면 막을 길이 없다”고 말했다. 김 대표의 공개적 발언으로 개헌 문제는 정기국회 이후 최대 이슈가 될 전망이다. 박근혜 대통령이 “경제를 삼키는 블랙홀이 될 것”이라며 ‘개헌 불가’ 입장을 거듭 강조했음에도 집권여당 대표가 다른 의견을 표명함에 따라 상당한 파장이 예상된다.
김 대표는 3박4일간의 방중 마지막 날인 16일 상하이(上海) 숙소 호텔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개헌론이 시작되면 경제 활성화가 방해받는다는 지적은 맞다”면서도 “다음 대선에 가까이 가면 (개헌은) 안 되는 것”이라고 말했다.
개헌 방향으로는 외교·국방은 대통령이, 내치는 국회에서 의원들이 선출한 총리가 담당하는 오스트리아식 이원집정부제를 선호하고 있음을 피력했다. 김 대표는 “우리 사회는 지금 철저한 진영 논리에 빠져 아무것도 되는 게 없다”면서 “‘올 오어 나싱’(All or Nothing·전부 아니면 전무) 게임이기 때문에 권력 쟁취전이 발생한다. 권력을 분점해야 이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제는 중립지대를 허용해 연정(연립정부)을 하는 게 사회 안정으로 갈 수 있는 길이다. 미국을 제외한 정치 선진국들은 다 연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나도 정·부통령제를 선호했는데 이원집정부제도 검토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도 했다. 선거구제 개편 문제에 대해선 “그것도 검토해 볼 수 있다. 중대선거구제냐. 석패율(惜敗率·가장 아깝게 낙선한 후보자를 구제하는 제도)로 가느냐의 선택”이라고 했다.
김 대표는 공천 개혁 문제에 대해서도 소신을 밝혔다. 그는 “선거를 이기기 위해 공천하는 데 사심이 들어가면 안 된다”며 “계보 정치로 가면 망한다. 우리 당은 지금 거기서 빠져나오고 있다. 내가 계보를 안 만들고 있지 않느냐”고 했다.
당 조직강화특위의 당무감사에 대한 친박(친박근혜) 주류의 반발과 관련해선 “조강특위의 당무감사는 매년 실시됐다. 불안해하지 말고 자기 지역구에서 열심히 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상하이=하윤해 기자 justice@kmib.co.kr
김무성 “정기국회 후 개헌론 봇물 터질 것”
입력 2014-10-17 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