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임(難姙) 지원사업에 참여한 의료기관 3곳 중 1곳의 인공수정 임신 성공률이 ‘0%’로 조사됐다. 투입된 예산이 700억원이 넘는데 의료기관과 시술의 질이 체계적으로 평가·관리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춘진 의원은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난임 지원사업 예산 및 실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이 사업을 통해 임신에 성공한 사례는 지원 대상자의 24%였다고 15일 밝혔다. 2011년과 2012년엔 각각 임신 성공률이 21%였다.
특히 인공수정에 의한 임신은 성공률이 낮은 데다 의료기관마다 격차가 심했다.
2012년 인공수정을 시술한 270개 의료기관 중 93곳(34.4%)은 임신 성공률이 ‘0%’였다. 153곳(56.7%)은 10%도 안 됐다. 10%가 넘는 성공률을 보인 의료기관은 24곳(8.9%)에 불과했다.
체외수정은 사정이 조금 나았다. 체외수정을 하는 123개 의료기관 중 65곳(52.3%)은 임신 성공률이 25% 이상이었다. 체외수정에 의한 평균 임신 성공률은 12.9%였다.
김 의원은 “낮은 임신율과 높은 비용 부담으로 여전히 많은 난임 부부가 고통받고 있다”며 “의료기관별 임신 성공률과 의료비 정보를 난임 부부들에게 제공하는 등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
엉터리 난임 지원사업
입력 2014-10-16 0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