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재등장, 고위급 접촉 성사 가능성 높아져

입력 2014-10-15 03:02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가 40일 만에 공식석상에 다시 등장하면서 이달 말 또는 다음 달 초 예정된 2차 남북 고위급 접촉 성사 여부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박근혜 대통령이 5·24 대북제재 조치에 대해 유연한 입장을 보인 만큼 남북 대화가 탄력을 받게 됐다는 전망도 조심스레 제기된다.

정부 당국자는 14일 “김 제1비서가 건재하다는 것이 확인되면서 2차 고위급 접촉을 추진하기 위한 안정적인 여건이 마련됐다고 본다”며 “현재 2차 접촉 날짜와 장소 선정, 의제 문제 등 세부적인 사안에 대한 우리 측 입장을 정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우리 측 최우선 의제인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서둘러 하자는 뜻을 북측에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당국자는 “상봉 행사 대다수 참석자들이 70, 80대 고령자인 만큼 추워지기 전에 하루라도 빨리 하는 게 좋다고 본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전날 통일준비위원회 2차 전체회의에서 5·24조치를 언급하며 “남북한 당국이 만나 대화로 풀어가야 한다”고 밝힌 것도 북한이 2차 접촉에 적극적으로 나설 가능성을 높였다는 지적이다. 장용석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정부가 5·24조치에 대해 논의 자체를 부인하던 상황에서 벗어나 이를 공식 의제로 올릴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에서 진일보했다”면서 “향후 접촉이 고무적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하지만 낙관할 수 없다는 반론도 적지 않다. 최근 탈북자단체의 대북전단(삐라) 살포 문제가 잠복한 상황이라 돌발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가 전단 살포 문제와 관련해 필요 시 안전조치를 취하겠다는 방침을 밝혔지만 해당 단체들은 비공개로 전단 살포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다. 북한 노동신문은 이날도 ‘인권모략, 체제대결 광증의 발로’라는 제목의 글에서 “남조선 당국이 삐라 살포 난동을 계속 허용하거나 묵인한다면 북남관계는 수습할 수 없는 파국으로 치닫게 될 것”이라며 “지금 온 겨레는 남조선 당국의 움직임을 예리하게 주시하고 있다”고 우리 정부를 재차 압박했다.

유엔에서 추진되고 있는 북한 인권결의안도 2차 접촉에서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곳곳에 장애물이 산재해 있다 보니 정부로서도 고민이 깊다. 우호적인 대화 환경을 조성하자니 자칫 대화 주도권을 뺏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여러 상황을 고려해가며 우리 측 입장을 정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종선 기자 rememb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