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카카오 초강수 논란] “法 무시” 비난 여론보다 이용자 달래기가 더 시급

입력 2014-10-15 03:08
다음카카오는 “감청영장에 불응하겠다”는 발표로 ‘사이버 검열’ 논란이 또 다른 국면으로 접어들었음에도 담담한 표정이었다. 검찰이 “법 집행마저 거부하겠다는 것이냐”고 발끈하는데다 정부의 지나친 사생활 침해를 비판하던 정치권마저 다음카카오를 질책하는데도 별로 놀라지 않는 표정이었다. 외부에선 다음카카오가 자충수를 둬 걷잡을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렸다는 분석이지만 다음카카오 내부적으로는 ‘이용자 달래기’가 더 시급하다고 보는 분위기다.

다음카카오 내부적으로는 일단 가입자 이탈을 막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를 던졌다는 얘기가 나온다. 검찰, 정치권의 반응보다는 뒤늦게라도 이용자의 마음을 돌리는 최선의 방법을 고민했다는 것이다. 다음카카오는 전날 대국민 사과와 함께 “법과 프라이버시에 대한 사회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을 때는 어떠한 경우에도 프라이버시를 우선하는 정책을 실시하겠다”고 밝히며 “감청영장에 응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나 다음카카오 관계자는 14일 “압수수색영장이 와도 응하지 않겠다는 뜻은 아니었다”면서 “서버의 대화 저장 기간을 2∼3일로 단축시켰고, 실시간 감청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수사기관에 제공할 수 있는 자료는 이제 매우 제한적일 것이란 의미였다”고 해명했다. 이어 “과거에 3∼7일간의 대화 내용을 제공했던 게 잘못이었음을 인정하고 앞으로 이용자 프라이버시 보호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음카카오는 ‘법 무시’라는 비난보다는 오히려 카카오톡 사용자 수 증감에 더욱 민감한 표정이다.

카카오톡 사용자 수는 최근 들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온라인 시장조사 기관 랭키닷컴의 모바일 이용통계 자료에 따르면 지난주(5∼11일) 카카오톡 이용자 수는 2917만9000여명으로 전주 사용자 2923만5772명보다 5만6000여명 줄었다. 반면 독일에 서버를 둔 모바일 메신저 ‘텔레그램’ 사용자는 지난주 262만4788명까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 주 사용자 138만1103명보다 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한편 검열 논란이 네이버 밴드 등으로 확대되자 다음카카오, 네이버, SK커뮤니케이션즈 등 인터넷 기업 3사는 당국의 수사 협조에 따른 이용자 보호 문제에 공동 대응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한국인터넷기업협회 관계자는 “이용자 보호와 수사상의 공익적인 목적이 조화를 이룰 수 있는 법·제도 개선에 대한 사회적 공론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