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베이징에서 14일 열린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주중대사관 국정감사에서는 40일 만에 모습을 드러낸 북한 김정은 노동당 제1비서와 관련해 ‘대북 정보력 부재’에 대한 지적이 나왔다.
새누리당 이재오 의원은 “김정은 신변 문제에 대해 40일 동안 모르고 있었느냐”면서 “주중대사관 주요 의무 중 하나는 북한 최고위층의 신상 파악”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정확한 정보 파악이 안돼 국내에서 온갖 유언비어가 난무하면서 남북관계에도 영향을 주고 국내에서도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현 의원도 “책임 있는 보고로 혼선을 줄였어야 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권영세 주중대사는 “북한 최고위층 신상은 내용 파악에 한계가 있다”고 답했다.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문제와 관련한 질의도 이어졌다. 이 의원은 “한국과 중국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더라도 남의 집에 계속 불법으로 드나들면 중국에 대한 감정이 좋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권 대사는 “한·중 관계가 불행한 사태로 주름갈 수 있기 때문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중국 정부에 불법 조업 중단을 지속적으로 촉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는 전날 베이징에서 열린 한·중 영사국장 회의에서 “최근 발생한 중국 선장 사망사고가 양국의 우호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노력하자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권 대사는 업무보고에서 중국의 대(對)한반도 정책과 관련해 “중국은 북·중 관계가 국가 대 국가 간의 정상적 관계라는 입장을 표명하고 있고 북한의 핵 포기를 설득하는 것으로 관찰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올해 양측 고위급 교류의 대폭적인 감소는 눈에 띄는 부분”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권 대사는 “북·중 간 고위급 교류가 회복될 가능성이 있어 관련 동향은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hmaeng@kmib.co.kr
“김정은 신변 40일 동안 깜깜” 주중대사관 대북 정보력 질타
입력 2014-10-15 0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