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修 끝에 유치한 평창동계올림픽, 아직도 입씨름만… 개·폐막식장 이전 불지핀 정부, 반납투쟁 비화

입력 2014-10-14 02:47
13일 강원도 평창군청 광장에서 올림픽 대회기를 하강하려는 주민들과 이를 막으려는 공무원들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평창군 제공

정부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폐막식장을 강원도 평창에서 강릉으로 이전하는 방안을 추진하자 평창 주민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평창군번영회와 군이장협의회 등 평창 지역 18개 사회단체는 13일 평창문화복지센터에서 2018 평창동계올림픽 반대투쟁위원회를 구성하고 올림픽 반대 및 반납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

이처럼 평창 주민들이 올림픽 반납 투쟁에 나선 것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올림픽 개·폐막식장을 평창에서 강릉종합운동장으로 옮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체부는 인구가 4000명인 횡계리에 4만석 규모의 개·폐막식장을 지으면 올림픽 이후 활용방법이 마땅치 않아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반투위는 성명서에서 “개·폐막식장 변경은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허물어뜨리는 위험한 시도로 국격을 실추시키고 대회준비에 심대한 차질을 초래할 것”이라며 “강원도와 평창군은 올림픽과 관련한 모든 사업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반투위는 오전 긴급회의를 마친 뒤 군청으로 이동해 군청광장에 게양된 올림픽 대회기의 하강을 시도했으나 군청 공무원들에 의해 저지당했다. 우강호 반투위원장은 “IOC 규정은 올림픽 개·폐막식을 호스트 시티에서 개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정부가 개·폐회식장 이전을 중단할 때까지 올림픽 반대 및 반납 투쟁을 전개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반투위는 15일 생물다양성협약당사국총회가 열리는 평창 알펜시아에서 개·폐막식장 이전 반대를 위한 대규모 집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강원도 역시 개·폐막식장 이전은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올림픽 개·폐막식장은 평창 대관령면 횡계리 고원훈련장 32만6700㎡ 부지에 4만석 규모로 건립될 예정이다. 현재 기본계획 용역을 마치고 예비타당성조사를 신청한 상태다. 도 관계자는 “강릉종합운동장을 4만석 규모로 변경하려면 확장이 필요한데 주변에 도로와 아파트 등이 있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면서 “역대 올림픽에서 개최 도시가 아닌 곳에서 개·폐막식을 치른 사례가 없다”고 주장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사후 활용방안과 평창 인구를 고려해 이전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 지역 주민 등의 의견을 반영해 최대한 빨리 결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평창=서승진 기자 sjse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