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방사청, 특수단정 납품 비리 연루 정황

입력 2014-10-13 03:59
방위사업청 내부 직원들이 해군 특수고속단정 납품 비리에 연루된 정황을 경찰이 포착한 것으로 12일 확인됐다. 통영함과 소해함에 이어 특수단정 도입 과정에서도 방사청 담당자가 업체와 유착돼 함량 미달 부품 납품을 묵인한 것으로 경찰은 보고 있다.

서울지방경찰청 광역수사대는 2009년 W사의 특수단정 납품 당시 방사청 함정원가팀에서 실무를 담당했던 A씨(61)를 지난 8일 소환해 조사했다고 밝혔다.

A씨는 2009년 W사 측이 특수단정 제작 과정에서 중고 엔진을 장착하고도 신형 엔진을 새로 구입한 것처럼 허위 영수증을 첨부한 사실을 묵인한 혐의를 받고 있다. W사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특수단정 13척을 척당 10억원에 해군에 납품했다. 당시 볼보그룹의 엔진 전문 업체인 볼보펜타의 신형 엔진을 모든 단정에 장착했다고 방사청에 신고해 돈을 타냈다. 하지만 이 중 4척에는 2008년 사용했던 중고 엔진이 장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W사는 이외에도 인건비와 각종 부품비도 부풀려 청구한 의혹을 받고 있다. 경찰은 A씨를 비롯한 방사청 직원들이 이를 눈감아준 대가로 금품을 받은 것은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A씨는 W사와의 유착 관계에 대해 “허위 영수증 첨부 사실에 대해 당시 알지 못했다”며 “뇌물수수 혐의에 대해서도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 또 “경찰이 오해하고 있는 것 같아 8일 소환조사 때 모든 의혹에 대해 소상히 해명했다”고 덧붙였다.

W사가 납품한 특수단정은 2010년 천안함 폭침 사건 이후 북한의 잠수함 침투에 대비하기 위해 도입됐다. 일반 고속단정과 달리 수중 음파탐지기와 잠수함 공격용 폭뢰 등이 장착돼 있다. 하지만 도입 직후부터 엔진 고장이 자주 발생하자 불량 부품이 사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방부 조사본부는 의혹을 확인하기 위해 1년간 납품과정을 조사했으며 비리 혐의를 포착해 사건을 경찰에 넘겼다.

경찰은 A씨를 포함해 수사 선상에 오른 방사청 관계자 등을 소환조사 중이며, 뇌물수수 등 관련 의혹을 확인한 뒤 이르면 이달 말 이들의 사법처리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