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연합 조강특위 가동 … 친노-비노간 물밑싸움 시작됐다

입력 2014-10-13 02:31
우윤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12일 국회에서 열린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우 원내대표, 백재현 정책위의장, 유성엽 정책위 수석부의장. 김지훈 기자

새정치민주연합이 조직 재건을 위한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를 새로 가동하면서 계파 간 치열한 물밑싸움이 시작됐다. 특위가 차기 전당대회는 물론 20대 총선 공천까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제든지 친노(친노무현)와 비노 간의 계파 갈등이 폭발할 소지가 다분하다.

조강특위는 국회 국정감사 일정이 없는 15일쯤 첫 회의를 갖고 공식 활동을 시작할 계획이다. 특위소속의 한 의원은 12일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11월 초까지는 지역위원장 선발 등 절차를 마무리할 것”이라며 “공천이 아니기 때문에 전략적 판단보다는 공모를 통한 원칙적 선발이 이뤄질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조강특위는 예년과 달리 전국 246개 지역위원장을 전부 임명하는 등 훨씬 복잡하고 민감한 작업을 진행해야 한다. 기존 지역위원장들은 지난 3월 구 민주당과 안철수 신당의 통합 과정에서 전원 해촉됐다. 따라서 지역위원장 선발 과정에서 각 계파 간 충돌은 그 어느 때보다 심한 양상을 빚을 가능성이 높다.

당 관계자는 “조강특위 활동에서는 원내대표 경선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치열한 전면전이 벌어질 수 있다”며 “엉성하게 묶어놨던 갈등이 한꺼번에 터지면 당 전체가 심각한 상처를 입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당 일각에서는 이미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됐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를 의식한 듯 새정치연합은 특위 구성에서부터 계파별 안배에 세심한 노력을 기울였다. 특히 줄곧 비상대책위원회 참여를 거부했던 김한길 안철수 전 공동대표 측 인사들도 다수 포함시켰다. 범친노로만 비대위를 구성한다는 비노 진영의 비판적 시각을 염두에 둔 포석으로 여겨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충돌의 불씨는 여전히 살아있다. 만약 지역위원장을 분배하는 과정에서 특정 계파가 한 지역을 독점한다거나 일부 쏠림현상이 발생하면, 반대 진영이 대대적인 반격에 나서며 전면전이 벌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