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를 비롯한 외교안보 부처는 10일 북한군 발포가 이뤄진 직후부터 상황 파악을 위해 긴박하게 움직였다. 특히 박근혜 대통령은 청와대 김관진 국가안보실장으로부터 북한군의 고사총 발포 직후 관련 상황을 즉각 보고받았다. 박 대통령은 상황을 보고받은 뒤 우리 군에 엄정한 대응을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도 이 상황을 즉각 보고받았다”고 말했다.
김 실장은 청와대에서 긴급 안보라인회의를 열고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로부터 상황을 보고받으며 대책을 논의했다. 다만 추가로 특이동향이 파악되지 않음에 따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회의는 개최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는 대외적으로 별도 입장은 발표하지 않고 국방부로 대언론 창구를 일원화했다. 그러나 청와대 내부적으로 향후 남북관계 대응 방향에 대해서도 심도 있은 논의가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와 합참에도 긴장감이 흘렀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국방부 청사에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국정감사를 받다가 오후 6시쯤 백승주 차관에게 국감을 맡기고 합참 지휘통제실로 이동해 상황을 직접 챙겼다. 군 관계자는 “한 장관은 지휘통제실 이동 전에도 상황 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합참은 북한군 동향을 세밀히 주시하면서 즉각대응 태세를 유지했다. 특히 합참은 우리 측 시민단체의 대북 전단 살포 시점부터 위기조치반을 가동해 상황 점검에 들어갔다. 최윤희 합참의장은 북한 군 총격 직후 상황실에서 관련 상황을 점검했다.
통일부도 류길재 장관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상황 파악과 향후 대응 방향을 논의했다. 통일부는 북한에 체류 중인 개성공단 근로자 안전을 위한 조치로 야외활동 자제, 비상연락망 유지 등을 당부했다. 외교부도 이번 사건이 끼칠 파장을 면밀히 분석하는 등 분주히 움직였다.
새누리당 소속 황진하 국회 국방위원장은 “국방부로부터 북한의 총격에 대한 구두보고를 받았다”고 말했다. 새누리당과 새정치민주연합은 대북 전단에 대한 북한의 포격 도발을 강력히 규탄하며 즉각적인 중단을 촉구했다.
남혁상 기자 hsnam@kmib.co.kr
[남-북, 대북전단 교전] 靑 안보라인 긴급회의… 합참, 위기조치반 즉각 가동
입력 2014-10-11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