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고위 당국자는 9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에 기여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면 그것이 양자 정상회담이든, 다자 정상회담이든 (두 정상이) 같이 앉을 수 없다”고 밝혔다.
이 당국자는 “일본이 다음 달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일 정상회담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을 알지만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일본으로부터 진정성 있고 성의 있는 태도를 발견하지 못한 상태”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에 따라 연내 한·일 정상회담 개최는 사실상 물 건너간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이 당국자는 “지난 3월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한·미·일 정상회담에서 군 위안부 문제의 진전이 이뤄져야 한다는 기본적 양해가 있었고, 이어 네 차례에 걸쳐 국장급 회의가 열렸지만 진전이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향후 양국 관계 전망에 대해서도 “아베 신조 정권이 있는 한 한·일 관계가 바뀌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와 관련해 일본이 양국 관계를 가로막는 장벽 중 하나인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타개책을 제시하는 것은 어렵다는 입장을 한국에 전달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정부는 다음주 유엔에서도 위안부 문제를 강도 높게 거론하고 일본의 태도 변화를 거듭 압박키로 했다. 유엔총회 제3위원회가 13∼15일 진행하는 ‘여성의 지위 향상’을 주제로 한 회의에 주유엔대표부 차석대사가 참석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 정부의 태도를 비판할 예정이다.
워싱턴=배병우 특파원
bwbae@kmib.co.kr
“日 ‘위안부 문제’ 진전 없이는 한·일 정상 같이 앉을 수 없다”
입력 2014-10-11 0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