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위암도 위내시경과 복강경을 동시에 사용하는 ‘하이브리드 수술’이 안전하고, 효과도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아주대병원 위암센터 소화기내과 임선교, 소화기외과 허훈(사진) 교수팀은 조기위암 환자 9명을 대상으로 위내시경 절제술에 복강경 수술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조기위암 수술을 하고, 최근 1년간 경과를 추적 관찰했다.
수술은 암이 퍼지는 길목에 있는 림프절(감시림프절)을 복강경으로 먼저 잘라 전이 여부를 확인하고, 전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면 바로 위내시경으로 암이 자리를 잡은 위 점막 전층을 도려낸 다음 복강경으로 다시 봉합하는 방식으로 마무리했다.
그 결과 환자 9명 모두 특별한 합병증 없이 건강을 회복했다. 불완전한 절제술로 남은 잔여 암 때문에 추가 수술이 필요한 경우가 없었고, 1년 후 재검사에도 암이 재발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위암의 가장 기본적인 치료법은 수술이다. 조기위암 환자 중 림프절 전이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경우에는 내시경적 절제술로 위의 기능을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지만, 림프절 전이가 있거나 전이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는 전이여부 확인을 위해 광범위하게 림프절을 절제하고 전이 정도에 따라 복강경으로 위의 3분의 2가량을 절제거나 위 전체를 잘라내는 수술이 필요하다.
하이브리드 조기위암 수술은 이 두 가지 치료를 동시에 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두 방법 중 한 가지 방법만으로 시술했을 때 잔여 암이 생기거나, 반대로 정상조직까지 과도하게 잘라낼 위험을 줄일 수 있다.
허 교수는 “현재 조기위암에 대한 치료는 암 조직 절제 후 남겨지는 병변과 재발 가능성을 최소화하면서도 절제범위도 가능한 한 작게 해 수술 후 삶의 질을 최대한 향상시키는 쪽으로 발전하고 있다”며 “암 절제 수술 중 림프절 전이 여부를 확인하는 림프절감시법이 좀 더 발전하면 하이브리드 수술이 더욱 각광받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의 외과 분야 학술지 ‘저널 오브 아메리칸 칼리지 오브 서전스(JACS) 온라인판 최신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조기위암도 ‘하이브리드 수술’로 치료… 위내시경·복강경 동시 사용
입력 2014-10-13 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