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사진)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당 창건 69주년 기념일인 10일 김일성 주석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시신이 보관돼 있는 금수산태양궁전 참배를 하지 않았다. 2012년 집권 후 지난해까지 참배를 해오다 올해 돌연 거른 것이어서 생각보다 건강이 안 좋은 것 아니냐는 관측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조선중앙통신은 “노동당 창건 69돌을 맞으며 당과 국가, 군대의 책임일꾼들이 10일 금수산태양궁전을 찾아 숭고한 경의를 표시했다”며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박봉주 내각총리,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등이 참배했다고 전했다. 참배 참석자로 김 제1비서는 거명하지 않은 채 “김일성, 김정일 동지의 입상에 김정은 동지의 존함을 모신 꽃바구니가 진정됐다”고 밝혔다.
이로써 김 제1비서는 지난달 3일 모란봉악단 신작음악회 관람을 끝으로 이날까지 37일째 공개석상에 나타나지 않고 있다. 지난 7월에는 오른쪽 다리를, 8월엔 왼쪽 다리를 심하게 저는 모습이 포착돼 발목 질환 또는 고지혈증과 당뇨 등을 동반한 통풍을 앓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 상황이다. 여기에 한 달 이상 공개 활동을 안 하고 있어 김 제1비서의 발목 상태가 예상외로 심각한 것 아니냐는 주장이 확산되고 있다. 또 일각에선 확인키 어려운 신변이상설까지 돌고 있다. 김 제1비서의 건강 상태가 통치할 수 없을 정도로 위중하며 최근 방남(訪南)한 황 총정치국장 등 북한 고위급 대표단이 현재 전권을 행사하고 있다는 식의 루머가 증권가 정보지를 통해 흘러나온다.
하지만 정부는 최근 북한 동향을 감안할 때 특별한 이상 기류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다만 당국자는 “통상 발목 수술 시 회복기간이 최소 6주 정도임을 감안할 때 발목 상태가 어느 정도 심각한지 지켜볼 필요는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북한 대남 단체인 민족화해협의회는 대변인 담화에서 박근혜 대통령이 아세안(ASEAN) 사무총장과의 면담에서 북한의 ‘이중적 행태’를 언급한 데 대해 “용납 못할 정치적 도발”이라며 “남북 대화 분위기에서 언행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러나 중량감이 떨어지는 기구인데다 원색적인 표현도 없어 남북관계를 의식해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백민정 기자 minj@kmib.co.kr
김정은 ‘OO說’ 난무
입력 2014-10-11 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