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라야마 “위안부 문제 해결 위해 한·일 정상회담 필요”

입력 2014-10-10 03:10

무라야마 도미이치(90·村山富市) 전 일본 총리가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한·일 정상회담을 촉구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9일 숭실대에서 명예정치학박사 학위를 받으며 기자간담회를 갖고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해 한·일 정상 회동으로 서로의 공통된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총리 재임 시절인 1995년 7월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기금’을 설립해 민간 자금으로 위안부 손해배상을 한 데 대해 “일본 국민에게 교훈을 줬다”고 자평했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당시 한국은 이 돈을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는 저항이 있어 위안부 출신 60여명이 보상금을 받지 않았다”며 “하지만 모금 활동 당시 일본의 한 젊은이로부터 ‘위안부가 있었다는 역사적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일본 국민이 보상하는 것은 당연하다’는 편지를 받았다. (일본) 국민 전체에 교훈을 주는 의미는 있지 않았느냐는 설명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그는 “야스쿠니 신사 참배를 반대하는 한국의 입장에 대해서도 (아베 총리가)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 움직임에 대해선 반대의 뜻을 분명히 밝혔다.

무라야마 전 총리는 “일본 헌법에 일본은 ‘전쟁을 하지 않는 나라’로 돼 있다”며 “아베 총리가 헌법 해석을 변경해서 집단적 자위권 행사 움직임을 보이는 건 절대 허락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고노 담화, 무라야마 담화 등을 부인하고 수정하려는 아베 정부에 대해 “모든 정권이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하겠다는 것은 국제적인 약속”이라며 “아베 총리도 취임 이후 여러 발언이 있었지만 국회에서 무라야마 담화를 계승한다고 확실히 말한 바 있다”고 강조했다.

양민철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