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인 3명 중 1명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는 최근 발간한 ‘우리나라 노인의 비만 유병률 추이’ 보고서에서 1998년 25.0%이던 65세 이상 노인의 평균 비만 유병률이 2012년 34.2%로 9.2% 포인트 증가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체질량지수(BMI) 25(㎏/㎡) 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했다. 23∼24는 과체중, 25∼29.2는 1단계 비만, 30 이상은 2단계 비만이다.
이런 기준을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적용한 결과 남성 노인의 25.7%, 여성 노인의 40.1%가 1단계 또는 2단계 비만으로 나타났다. 정상체중(BMI 18.5∼22.9) 노인은 남성 42%, 여성 35%에 불과했다.
1998년에는 도시 노인의 비만 유병률(29.8%)이 농촌 노인(18.7%)보다 훨씬 높았지만 2012년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도시 노인 비만율이 34.7%로 소폭 상승한 반면 농촌 노인은 33.1%로 배 가까이 증가했다. 또 남성 노인의 비만율이 11.2%(1998년)→27.8%(2005년)→25.7%(2012년)로 급증 후 감소 추세를 보인 데 비해 여성 노인은 33.3%(1998년)→36.1%(2005년)→40.1%(2012년)로 계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농촌 여성 노인은 1998년 25.4%에서 2012년 40.3%로 급격히 높아졌다.
노인 인구 증가세를 감안하면 현재의 비만율이 유지돼도 2030년이면 비만 노인 수는 배로 늘어날 전망이다. 질병관리본부 김윤아 연구관은 9일 “비만 노인 중 스스로 비만이라 생각하는 사람은 61.3%밖에 안 된다”며 “노년 건강관리의 필수 요소는 적정 체중 유지”라고 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65세 이상 노인 3명 중 1명 비만… 15년 새 9.2% 포인트 증가
입력 2014-10-10 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