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군의 사이버 작전 방식이 소극적 방어에서 적극적인 대응 작전으로 전환된다. 사이버 작전 요원도 현재 600명에서 1000명으로 늘어난다.
국방부는 8일 ‘국군사이버사령부 역량 강화’ 방안을 국회 국방위원회에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북한이 6000명의 사이버 요원을 두고 우리 군을 상대로 한 해킹공격 등을 늘리고 있는 데 따른 대응 차원이다(국민일보 8일자 1면 단독 보도).
군 소식통은 “그간 해킹을 감시하는 관제 위주의 소극적 방호 중심으로 이뤄진 사이버 작전 능력을 적극적인 대응 작전으로 전환할 계획”이라며 “적 공격의 취약점을 이용해 선제적 공격으로 침해 예방활동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사이버사령부는 군의 전쟁수행 보장을 위한 내부망 방호능력을 강화하고, 모의 공격팀을 주기적으로 운영해 국방전산망 및 무기체계에 대한 방호력을 더욱 보강할 계획이다.
또 사이버 작전 영역도 정보통신기기 발전 추세에 따라 유선망을 포함해 모바일, 사물인터넷, 임베디드(기기 내장 칩) 등으로 확대된다. 사이버 작전 전문 장교로 임관할 경우 별도의 ‘사이버특기’를 부여해 평정과 진급 등을 별도로 관리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사이버사령부가 새정치민주연합 안규백 의원실에 제출한 ‘군내 바이러스 침입 현황’에 따르면 최근 19개월간 우리 군의 핵심 네트워크인 ‘전장망’과 ‘국방망’에 총 3만1840건의 바이러스 침입 사건이 발생했다. 국방부는 그동안 국방망과 전장망은 외부로부터의 침입을 원천 차단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2013년부터 올해 7월까지 전장망에서 776건, 국방망에서 3만1064건의 바이러스 침입이 있었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
軍, 사이버戰 선제적 작전 전환
입력 2014-10-09 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