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시행 2주 차에 접어들면서 이동통신사가 공시하는 보조금 액수가 다소 늘었다. 지원금은 최신 스마트폰보다는 출시된 지 1년 이상된 단말기에 집중되는 모양새다. 이동통신 업계가 8일 삼성전자 ‘갤럭시 노트4’ ‘갤럭시S5 광대역LTE-A’, LG전자 ‘G3’ 등 단말기에 대한 지원금을 지난주 대비 4만∼10만원 올렸다.
SK텔레콤은 이날 공식 온라인 쇼핑몰 T월드 다이렉트에 갤럭시S5와 갤럭시S5 광대역 LTE-A의 지원금을 지난주 13만3000원보다 4만7000원 증가한 18만원으로 공시했다. 기본요금이 10만원인 ‘LTE100’ 요금제를 기준으로 한 액수다. G3는 13만3000원에서 20만원으로 6만7000원 늘었다. KT는 기본료가 12만9000원인 ‘완전무한 129’ 요금제를 기준으로 갤럭시 노트4를 샀을 때 16만2000원의 지원금을 준다. 지난주보다 8만원 늘어난 액수다. LG유플러스는 기본료가 8만9900원인 ‘LTE8 무한대 89.9’ 요금제를 사용할 경우 갤럭시 노트4에 11만원의 지원금을 책정했다.
출시된 지 오래된 단말기일수록 지원금 증가폭이 크다. SK텔레콤에서 최근 출시된 삼성 ‘갤럭시 노트4’의 지원금은 11만원으로 지난주와 동일하지만 출시 15개월이 지난 ‘G프로’ 지원금은 지난주보다 8만8000원 늘어난 47만6000원, 갤럭시 노트2는 46만9000원이다. KT에서도 갤럭시 노트2는 지난주보다 20만4000원 늘어난 67만3000원의 지원금을 준다.
단통법은 한번 고시한 보조금을 최소 1주일간 유지하고, 이후 다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업계는 보조금 액수가 조금씩 늘어나더라도 최신 단말기의 경우 지원금이 상한선인 30만원대까지 오르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가운데 애플 ‘아이폰6’가 국내에 출시될 경우 지원금 정책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업계 관계자는 “최신 스마트폰의 경우 제조사 지원금이 많지 않은 데다 구매 수요가 많기 때문에 얼마의 지원금을 투입할지 여전히 눈치작전을 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이통사, 단말기 보조금 구형에 집중
입력 2014-10-09 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