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주요 교단 총회 살펴보니… 선거제도 개선됐지만 총회 ‘불통’ 운영은 여전

입력 2014-10-09 02:50

한국교회 주요 교단 총회에서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반영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총회 내부의 소통과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 측면에서는 여전히 미흡했다. 연령과 세대, 지역을 아우를 수 있도록 총회 구조 및 운영을 개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사립학교법 개정 찬반 논의’에서 ‘목회대물림 금지법’까지=국민일보가 2004년부터 올해까지 매년 발간된 교단총회공동대책위원회(교총공대위)의 총회참관활동 보고서(2006년 제외)를 분석한 결과, 주요 사회 현안에 대한 논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사회적 이슈에 대해 책임감을 갖고 적극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한 것으로 평가된다.

2004년 한국 사회의 핫이슈였던 ‘사립학교법 개정’과 ‘국가보안법 폐지’ 논란은 그해 9월 주요 교단 총회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 통합과 합동, 고신을 비롯해 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등 주요 교단들은 “(미션스쿨의) 설립 이념을 훼손할 수 있다”는 이유로 사립학교법 개정 반대 성명서와 국보법 폐지 반대를 골자로 한 시국선언문을 내놨다. 충남 태안 기름유출 사고(2007년)와 아이티 대지진(2010년), 동일본 대지진(2011년) 등 국내외 재난 구호와 지원에 대한 논의도 빠지지 않았다.

최근 3년 동안에는 목회대물림 문제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2012년 기감 총회에서 전격 통과된 목회대물림 금지법을 기폭제로 이듬해부터 올해까지 4∼5개 교단이 관련 세칙을 담은 헌의안을 통과시키거나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목회자 납세 문제도 비슷하다. 3년 전 일부 교단에서 논의되기 시작해 지난해와 올해에는 4∼5개 교단이 향후 1년간 연구 기간을 두기로 하거나 자진납세 권장 방안을 통과시켰다. 예장통합은 2013년 목회자 윤리지침을 제정했고, 세월호 침몰 사고와 관련해서는 한국기독교장로회가 지난달 총회 기간에 ‘고난 받는 이웃과 함께 하는 수요 예배’를 드렸다.

◇선거제도는 개선, ‘불통’ 총회는 여전=2010년 이후 주요 교단의 임원선거 제도가 대폭 강화됐다. 선거운동원 수가 제한되고, 선거감시단 활동도 전개됐다. 일부는 자체 선관위를 두고 선거공영제를 도입했다. 교총공대위 관계자는 8일 “사회 선거법 수준과 비교한다면 여전히 미흡하지만 조금씩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평가할 만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교단헌법 만능주의’와 총회 재판국에 대한 비판은 거세졌다. ‘개교회 분쟁이 발생하거나 재판 요구가 있을 경우, 교단 내 힘이나 파벌, 온정주의에 따른 불의한 판결이 많아 세상 법정에 호소하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는 교총공대위의 지적은 거의 매년 이어졌다.

평신도의 총회 참여를 확대하고 총회 현장을 대외적으로 공개하며, 총대들의 전문성과 책임성을 높이고 총대 구성을 다양화해야 한다는 지적도 2004년 이후 ‘단골’ 지적사항이다. 여성 및 청년들의 참여와 언권(言權) 확대, 민주적 의사결정 구조 확립 등 ‘소통’ 총회에 대한 요구도 해마다 반복되고 있다.

박재찬 기자 jeep@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