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10일 홍콩 정부-시위대 공식 대화 “성과 없을 것” 회의론 대두

입력 2014-10-09 02:13
홍콩 시민들의 반(反)중국 시위가 홍콩 정부와 시위대가 대화를 시작하기로 하면서 소강상태로 접어들었지만 별다른 성과가 없을 것이라는 회의론이 벌써부터 시위대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고 AFP통신이 8일 보도했다.

홍콩 정부는 10일 오후 4시 캐리 람 정무사장(부총리)과 학생 대표 간에 공식 대화를 갖는다고 밝혔다. 대화 장소는 예비접촉을 통해 확정되는데 정부 청사와 가까운 홍콩섬 완차이 부근이 될 것으로 전해졌다. 그렇지만 시위대를 대표하는 학생들은 의제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양측은 앞서 7일 예비접촉을 통해 헌법 개정과 이를 위한 법률적 검토 등 두 가지를 다루기로 합의했다.

대학 학생회 연합체인 홍콩전상학생연회(香港專上學生聯會·학련)의 레스터 셤 부비서장은 반중 성향 인사의 2017년 행정장관 출마를 허용하는 진정한 보통선거와 후보의 정당공천 등이 의제에 포함되지 않았다며 반발했다. 그는 “우리는 홍콩 당국과 캐리 람 정무사장이 정치개혁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직시하길 촉구한다”며 “우리를 다시 속이려하지 말라”고 경고했다.

AFP 등은 회의론에도 불구하고 시위는 일단 진정 단계로 접어들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문제가 해결될지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많다. 홍콩 정부가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와 홍콩 기본법의 틀을 고수할 경우 접점을 찾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특히 학생들의 요구를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가 결정한 사항을 수정해야 하는데 이는 쉽지 않다. 학생들 역시 뒤로 물러설 것 같지 않아 협상은 진통을 겪을 전망이다.

이제훈 기자 parti98@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