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정상회담에서 이슬람 수니파 무장단체 이슬람국가(IS)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한다.
양국 정상은 베이징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끝난 다음날인 11월 12일 별도의 정상회담을 가질 예정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8일 전문가들을 인용해 “시 주석과 오바마 대통령이 테러 단체에 대한 정보 교류와 함께 테러 자금 및 무기 유입의 차단책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보니 글레이저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아시아담당 선임연구원은 “양국 외교 당국은 이미 지난 7월 테러에 대한 공동 대응책을 논의하기 시작했다”면서 “테러와 관련한 양국의 논의는 2001년 9·11테러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중국을 방문한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중국 고위 관리들을 만나 “이라크 내에서 점증하는 IS의 위협에 대응하는 데 중국도 참여해 달라”고 요청한 바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당시 “중국이 미국의 요청에 관심을 가졌다”고 보도했다.
구체적인 협력 형태는 아직 윤곽을 드러내지 않고 있다. 하지만 글레이저 연구원은 “군이나 민간 정보기관들이 참여하는 테러 정보 교환이 쉬운 협력 방안 중 하나”라고 말했다.
진찬룽 중국 인민대 교수는 “9·11테러 당시와 마찬가지로 테러단체의 자금줄 차단과 함께 이라크군의 군사 훈련에 중국과 미국이 함께 참여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사사건건 미국과 대립 각을 세우고 있는 중국이 테러 문제를 두고 미국과 공동 전선을 펼치려는 것은 자국 내 테러 세력에 대한 우려 때문이다. 중국 지도부는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일부 세력과 이라크 및 시리아의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연대 움직임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미국의 IS 공습 직후 화춘잉 외교부 대변인은 “국제사회가 공동으로 협력해 테러리즘을 타격해 나가야 한다”며 환영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테러에 대한 공동 대응은 양국 간 갈등과 현안을 해소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진 교수는 “양자관계의 안정은 양국 외교의 가장 중요한 목표”라며 “구체적인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협력 방안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글레이저 연구원도 “실재하는 위협에 대해 협력하는 것은 양자관계 안정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남중국해 문제와 중국의 반독점법 강화 움직임 등 민감한 사안에서는 여전히 갈등이 예상된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 khmaeng@kmib.co.kr
美·中, 11월 12일 베이징서 정상회담… IS 공동 대응책 논의
입력 2014-10-09 0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