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이 재벌총수들을 향해 “국정감사를 회피하려는 행태는 용인할 수 없다”고 경고했다. 기업인들을 국감 증인으로 신청한 것에 대한 비난 여론이 확산되자 이를 원천봉쇄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새정치연합 김영록 원내대표 대행은 7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면 총수라 해도 법 앞에서 예외일 수 없다”며 “기업 경영의 실질적인 지시는 기업총수가 하면서 책임은 전문경영인에게 떠넘기거나 국감 출석 의무를 회피하려는 행태는 용인될 수 없다”고 말했다.
백재현 정책위 수석부의장 역시 “필요하다면 기업인뿐 아니라 누구든지 증인으로 채택해 질의하고 답변을 듣는 게 국회의 본분이고 당연한 책무”라고 거들었다. 백 수석부의장은 또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를 겨냥해 “여당의 기업인 감싸기는 국감 포기 상태와 같다”고 공격하기도 했다.
앞서 새누리당 김 대표는 6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보여주기식 국감이나, 증인에게 호통치고 망신주기식 국감은 절대 안 된다”고 밝힌 바 있다.
새정치연합은 환경노동위원회 국감 증인으로 삼성전자 이재용 부회장, 현대·기아차그룹 정몽구 회장, 포스코 권오준 회장을 요청했다. 하지만 새누리당 의원들이 거부하면서 환노위 국감이 파행 운영됐다. 환노위 야당 간사인 새정치연합 이인영 의원은 “여야가 기업인에 대한 증인 채택에 합의하지 못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국감을 진행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비판했다. 박범계 원내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국방위에서도 김규현 국가안보실 제1차장과 연제욱 전 사이버사령관의 증인 채택을 둘러싸고 여당 간사의 석연치 않은 반대가 있었다”고 주장했다.
새정치연합은 국가예산 22조원을 쏟아부은 4대강 사업과 이명박정부의 자원외교 실체도 철저하게 검증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같은 당 박완주 의원은 “(이명박정부 시절 자원외교는) 사실상 외국과 외국 기업에 국부를 일방적으로 퍼주는 자선외교를 넘어 국민의 혈세를 흩뿌린 자해외교”라며 “‘글로벌 호구’라는 표현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임지훈 기자 zeitgeist@kmib.co.kr
[여야 국감 전략-새정치민주연합] "기업총수 국감 회피 안돼" 철저 검증 벼르는 野
입력 2014-10-08 0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