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총재 “금리 통한 엔저 대응 신중해야”

입력 2014-10-08 02:59
국정감사 자리에서 여야 의원들은 한목소리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한국은행의 물가안정목표제를 지적했다. 한은은 2013∼2015년 중기 물가안정목표를 2.5∼3.5%로 설정했지만 2012년 11월 이후 물가상승률이 1%대로 목표치를 크게 밑돌고 있다.

새누리당 이만우 의원은 “2년째 중기 물가목표 하한에도 못 미치고 있는 것은 목표달성을 못한 것이고, 한은은 책임을 통감해야 할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정의당 박원석 의원 역시 “물가안정목표제가 유효하지 않으면 개선을 하고 그게 아니라면 목표 미달성에 대해 국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몰아붙였다.

이에 이주열 총재는 현행 중기 물가안정목표를 상황에 따라 중간에 목표를 수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다는 의사를 내비쳤다. 이 총재는 “목표를 재설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다만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물가목표에 미달하고 있지만 한은이 여기에 집착해 통화정책을 운용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물가목표에 경직적으로 대응할 경우 가계부채 확대 등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슈가 되고 있는 엔저 우려에 대한 질문에 대해선 “원·엔 환율을 금리로 대응하는 것은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엔저에 대응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하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 나오자 이 총재는 “환율은 금리 외에도 국제금융시장의 동향이나 그 나라의 자본유출입 등의 영향을 받는다”고 설명했다.

한편 새정치민주연합 김관영 의원이 최경환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척하면 척’ 발언이 부적절한 것 아니냐고 묻자 “시장에 영향을 줄 만한 인사의 발언은 자제하는 것이 좋겠다”며 사사건건 우회적으로 금리를 건드리는 최 부총리에 대해 불편한 심사를 토로했다.

박은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