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사이버戰 요원 6000명 운용”

입력 2014-10-08 03:30
북한이 부대원 6000명에 육박하는 ‘전략사이버사령부’를 창설하는 등 사이버전(戰) 능력을 대폭 확충했다고 국방부가 7일 밝혔다. 또 우리 군을 상대로 한 사이버 공격도 급증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전략사이버사령부 창설과 규모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방부 사이버사령부는 이 같은 내용을 8일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 보고할 예정이다.

사이버사령부에 따르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는 2012년 8월 ‘110호 연구실’을 방문해 사이버전 능력 강화를 위해 전략사이버사령부 창설을 지시했다. 김 제1비서는 특히 “정권 차원에서 최고 영재를 개발해 사이버 전사로 육성하라”고 주문했다. 110호 연구실은 북한 인민군 총참모부 정찰총국 산하기구로 사이버전과 해킹을 전담해온 조직이다.

이후 북한 사이버전 인력은 2년 만에 5900여명으로 급증했다. 이전에는 3000명 정도로 추산됐었다. 특히 이들은 신종 악성코드를 제작하고 공격 주체를 은폐하는 고도의 해킹 기술을 급속도로 발전시키고 있다. 사이버사령부는 “북한이 현재 미국과 대등한 수준의 사이버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미국과 중국 등이 전략사이버사령부를 구축한 것을 본떠 창설한 것 같다”며 “사이버전을 대폭 강화하겠다는 의지”라고 분석했다. 북한의 사이버전 요원들은 주로 평양지휘자동화대학과 김책공대, 평양컴퓨터 기술대학에서 양성되고 있다. 중국을 비롯해 해외에서 활동 중인 요원도 1200여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사이버전 능력 배가로 우리 군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도 급증 추세다. 북한은 올 1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1560건의 공격을 가해 왔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1139건)에 비해 421건 늘어난 수치다.

북한이 사이버전 능력을 대폭 강화하는 것은 비용이 적게 들고 인명살상 없이 적국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어서다. 또 흔적이 잘 남지 않아 국제적인 비난을 피할 수 있고, 외화벌이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한편 국방부는 이날 국정감사 업무보고에서 북한이 2015년을 ‘통일대전 완성의 해’로 선포하고 전면전 준비활동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현수 군사전문기자 hschoi@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