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위구르에 ‘강온 전략’ 강조하는 중국

입력 2014-10-07 02:10
중국이 분리독립 운동 세력의 테러가 끊이지 않는 신장위구르 지역에 대해 ‘강온’ 대응 전략을 부쩍 강조하고 있다.

지난 2∼3일 장춘셴 신장위구르자치구 공산당 서기는 지난해 6월 테러가 발생한 신장위구르의 투르판 지역을 돌아봤다. 당시 35명의 목숨을 잃었다. 장 서기는 이 자리에서 “극단주의 세력에 대한 강력한 단속과 함께 공교육의 확충 및 지역 불편사항 해소에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6일 현지 언론을 인용해 보도했다. 그는 “대중을 교육시키는 것은 극단적인 사상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서 “지역 정부는 이와 함께 지역주민들의 어려움을 눈여겨보고 생활수준을 높이는 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장 서기는 현지 이슬람 지도자들을 찾아 “종교적 화합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당부했다.

장 서기의 현장 시찰은 신장위구르자치구의 군사·생산 복합조직인 ‘신장생산건설병단’ 창설 60주년 기념백서 발간에 앞서 이뤄졌다. 병단은 군사 임무와 기간시설 건설 및 농업 활동, 광산 개발 등 경제적 활동을 하는 준군사조직이다. 신경보는 이날 국무원이 백서를 통해 “신장 지역 안정이 병단의 가장 중요한 임무”라면서 “경제 활동 외에 테러 대응에도 특별한 임무가 있다”고 강조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당국은 테러에 대해 강경책을 고수하고 있다. 대규모 대테러 작전은 물론이고 테러범에 대해 무더기 사형 집행까지 했다. 최근에는 위구르족 경제학자 일함 토티 전 베이징 중앙민족대학 교수에게 종신형을 선고했다.

하지만 강경 대응만으로는 테러를 근절시킬 수 없다는 판단으로 현지 주민들을 다독이기 위한 당근 정책도 꾸준히 내놓고 있다. 신장 주민들은 중앙정부의 신장위구르 지역 개발과 소득 올리기 정책이 한족들의 배만 불릴 뿐 위구르족은 철저히 소외돼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공산당 지도부는 지난 5월 베이징에서 ‘신장공작좌담회’를 열고 교육 투자 확대와 취업률 확대 정책 시행을 약속한 바 있다.

베이징=맹경환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