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2014 서울 불꽃축제’를 보려고 한강에 나온 요트 3척이 잇따라 전복되거나 침수됐다. 아이들도 타고 있어서 하마터면 큰 인명피해가 일어날 수도 있었다. 한강 안전관리가 소홀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5일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4일 오후 6시쯤 배모(40)씨 등 13명이 탑승한 요트가 강서구 방화대교 남단 부근에서 갑자기 균형을 잃고 한쪽으로 기울더니 그대로 전복됐다. 탑승자들이 불꽃축제를 보려고 요트 위를 분주히 오간 탓에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쏠린 것이다. 배에는 초등학생 어린이 2명도 타고 있었다. 다행히 어린이 2명을 포함한 승객 11명은 지나가던 어선에 구조됐고 나머지 2명은 한강경찰대가 출동해 구조했다.
오후 7시50분쯤에는 용산구 한강철교 북단에서 선장 김모(51)씨 등 10명을 태운 소형 보트가 가라앉고 있는 것을 경찰 순찰정이 발견해 탑승자들을 옮겨 태워 구조했다. 이들 역시 불꽃축제를 보려고 한강에 나왔다가 사고를 당했다. 경찰이 발견했을 당시엔 배 뒤쪽이 일부 가라앉은 상태였다. 이 배에는 어린이가 4명이나 타고 있었다. 오후 9시30분쯤에는 불꽃축제를 보고 돌아가던 소형 보트가 마포구 성산대교 인근에서 엔진 고장으로 표류하다 경찰에 구조됐다. 성인 4명이 타고 있었다.
이날 불꽃축제 중 전복되거나 침수된 배가 3척이나 됐지만 서울시가 강으로 나서는 이들을 제지할 방법은 사실상 없다. 한강의 보트 운행은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다. 밤에도 일몰 후 30분 뒤부터 자정까지는 야간 운항 장비만 있으면 가능하다. 서울시는 정원을 초과해 탑승객을 태웠는지, 안전 의무를 소홀히 했는지 등을 관리·감독할 권한만 갖고 있다. 경찰은 사고가 난 배에 대해 이 부분을 면밀히 조사 중이다.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불꽃축제 배띄워 보려다… 수상사고 속출
입력 2014-10-06 04: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