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위안부 강제연행 사실을 또 부인했다. 아베 총리는 지난 3일 “일본이 국가적으로 성노예 범죄를 저질렀다는 근거 없는 중상이 전 세계에서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의 ‘근거 없는 중상’ 망언은 중의원 예산위원회에서 이나다 도모미 자민당 정무조사회장이 “일본의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정부는 어떤 노력을 할 것인가”라는 질문에 답변하는 형식으로 나왔다. 질의 자체가 민감한 평가를 요구하는 것이 아니었는데도 미리 준비된 듯 단호한 답변을 한 것은 국제사회의 보편적 인식에 정면으로 맞서겠다는 ‘근거 없는’ 오기에 다름 아니다.
아베 총리는 아사히신문이 성노예 보도를 했다가 32년 만에 극히 일부를 오보라고 수정한 데 대해 “오보로 인해 많은 사람이 상처받고 슬픔과 분노를 느낀 것은 사실이며 일본의 이미지는 크게 상처 났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아사히신문이 취소한 ‘제주도에서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연행이 이뤄졌다’는 요시다 세이지의 증언이 위안부 강제동원을 인정한 고노 담화의 근거가 된 것은 아니다. 또한 아사히신문의 기사 취소로 성노예 문제의 본질이 흔들리는 것도 아니다. 일제가 조선여성들을 강제로 전쟁터에 끌고 갔다는 증언들은 이미 숱하게 제시됐다.
미국 내 한반도 전문가도 아베 총리에 대해 강력한 비판 발언을 쏟아냈다. 래리 닉시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연구원은 연합뉴스에 건넨 논평에서 “고노 담화는 역사적으로 정확하다”며 “일본의 역사 수정주의자들이 고노 담화를 허물기 위한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는 최근 ‘일본이 위안부 문제와 관련해 성의를 보이면 올해 안에 한·일 정상회담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베 총리의 이번 망언은 꼬인 한·일 관계를 풀기 위한 한국측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다. 국내외 한반도 전문가들은 일본 극우파 지도자들이 위안부 문제에 대해 갈수록 국제사회와 다른 시각을 드러내는 데 대해 우려를 표하고 있다. 아베 총리는 국제사회에서의 고립을 자초하는 아집에서 도대체 언제 벗어날 것인가.
[사설] 아베 총리, 국제적 고립 자초하는 아집 버려라
입력 2014-10-06 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