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능력 부족, 가정 문제 등 다양한 요인으로 공부에 어려움을 겪는 아이들을 위한 예산이 매년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받아 3일 공개한 ‘시·도교육청 기초학력 보장 집행액’ 자료를 분석한 결과다. 17개 시·도교육청의 기초학력 보장 집행액은 2011년 1175억8000만원, 2012년 1156억4000만원, 지난해 789억7000만원으로 줄어들었다.
기초학력 보장 사업에는 두드림 학교, 학습종합클리닉센터, 온라인 기초학력진단 시스템 등이 있다. 두드림 학교 프로그램은 교감·담임·특수·상담교사 등이 팀을 꾸려 학습부진 학생을 돕도록 일선 학교에 예산을 지원한다. 학습종합클리닉센터는 정서·행동장애 등 일선 학교에서 다루기 어려운 학생을 지원한다. 온라인 기초학력진단 시스템은 교사가 온라인으로 학습부진 여부를 진단·대처토록 돕는다.
경기도와 서울이 많이 줄었다. 경기도는 2011년 324억3000만원에서 지난해 38억5000만원, 서울은 2011년 203억5000만원에서 지난해 70억9000만원으로 감소했다. 각각 8분의 1과 3분의 1 수준이다. 반면 전남은 2011년 5억8000만원에서 2013년 60억6000만원으로 10배 이상 지원금을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
학습부진 학생 지원하는 기초학력 예산 매년 감소
입력 2014-10-04 0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