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신뢰를 잃은 새정치민주연합을 향해 김진표 전 원대대표가 쏟아낸 고언은 구구절절이 옳다. 지난 6월 지방선거 때 경기지사 후보로 나섰다 실패한 뒤 입을 다물고 지내던 그는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을 포함한 새정치연합 소속 3선 이상 모든 의원에게 이메일 서한을 보내 3가지를 국민 앞에 선언하라고 제안했다. 장외투쟁을 위한 국회공전 금지, 특정 법안을 위한 의정활동 연계투쟁 금지, 야당의 선도적 변화 다짐이 그것이다.
김 전 원내대표는 김대중정부에서 청와대 정책기획수석과 국무조정실장, 노무현정부에서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 및 교육인적자원부 장관을 역임하고 3선 국회의원까지 지내 경륜과 지략을 겸비한 정치인으로 꼽힌다. 세월호 특별법을 핑계로 국회를 내팽개치고 국정의 발목을 잡는 바람에 당에 대한 국민 지지도가 땅에 떨어진 현실이 가슴 아프기에 고민 끝에 내놓은 의견이라고 본다. 당 지도부가 소수 강경파에 이리저리 휘둘리고, 당권을 잡기 위해 끊임없이 계파싸움을 해댔으니 이런 소릴 들을 만도 하다.
‘국민 무서운 줄 알아야 한다. 때론 지는 것이 이기는 것이다’라는 김 전 원내대표의 말은 너무나 당연한 것인데도 새정치연합은 왜 그걸 실천에 옮기지 못할까. 국가와 국민보다는 당리당략과 정치인 각자의 이익을 우선시하기 때문이다. 세월호법 협상 과정에서 새정치연합의 일부 지도급 인사와 강경파 의원들에게 국민은 안중에 없었다. 국회 공전과 연계투쟁에 대한 비판이 거셌지만 오불관언이었다. 이러고도 다음 선거 때 표를 달라고 할 것인가.
새정치연합의 유력 대선후보였던 문재인 의원은 세월호법 최종 합의에 대해 “우리가 협상에서 졌다”고 했다. 다수 국민이 지지하는 합의에 대해 이런 발언을 하는 것은 세월호 유가족들을 편들기 위한 술책임이 분명하다. 책임 있는 정치인이라면 지금 이 시간 유가족들을 설득하는 데 적극 나서야 한다. 새정치연합 비대위는 김 전 원대대표의 쓴소리에 겸허하게 귀 기울여 반드시 실천에 옮겨야만 재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기 바란다.
[사설] 새정치연합 재기, 김진표 苦言 실천에 달려
입력 2014-10-04 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