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맥(느린 맥박)성 부정맥’에 대한 인식 부족으로 제때 치료를 받지 못하는 노인들이 많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서울성모병원은 최근 순환기내과 노태호(사진), 김지훈 교수팀이 인공심박동기(페이스메이커)를 장착한 서맥성 부정맥 환자 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상 증상을 처음 느낀 후 인공심박동기를 몸에 심기까지 평균 22.1개월이나 걸린 것으로 나타났다고 29일 밝혔다.
특히 첫 증상을 느끼고 원인규명 및 치료를 위해 6개월 안에 병원을 찾은 환자 57%를 포함, 1년 안에 병원을 찾은 환자가 70%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나머지 30%는 적절한 치료를 받기까지 1년 이상 소요됐다는 얘기다.
서맥성 부정맥은 노화 등의 이유로 심장이 1분에 50회 미만으로 뛰거나 간혹 수초 이상 정지해 심한 경우 사망할 수 있는 노인성 심장병이다. 흔히 빈혈, 저혈압, 노화에 의한 단순 무기력증으로 오인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발생빈도는 2012년 기준 인구 100만명당 53.1명꼴로 알려져 있다.
환자들의 성비는 남자 43%, 여자 57%의 비율이다. 연령별로는 40대 이하 9%, 50대 13%, 60대 26%, 70대 36%로 연령 증가와 함께 계속 많아지다가 80대 이후 17%로 줄어든다. 이들이 주로 느끼는 이상 증상은 어지럼증과 실신(18.9%), 호흡곤란(15.7%), 무력감·두근거림·흉통(5.5%) 등이다.
노 교수는 “서맥성 부정맥이 노인들에게 흔한 심장병이라는 사실을 모르니 어지럼증, 숨참, 실신 등의 위험신호가 나타나도 나이 탓으로만 여겨 진단과 치료가 늦어져 노년기 삶의 질도 현격하게 떨어지는 것”이라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연구결과는 다음달 28∼29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심장을 통해 새로운 세상을 연다’는 주제로 열리는 ‘대한심장학회 2014 추계 학술대회’ 때 발표된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서맥 나이탓으로 돌리다 병 키운다
입력 2014-10-06 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