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의 사퇴를 바라보는 새누리당의 시선은 ‘불안함’이라는 단어로 요약된다. 분초를 다투는 현안이 산더미인데 협상 카운터파트인 야당의 원내 사령탑이 사라져버린 꼴이기 때문이다.
새누리당은 ‘3차 합의’에 따라 세월호 특별법과 정부조직법, ‘유병언법’ 등을 이달 말까지 한꺼번에 처리해야 한다. 세 법안 모두 여야 간 여러 이견이 얽혀 있어 충분한 논의가 불가피하다. 거기다 새정치연합이 강력히 반대하고 있는 각종 경제활성화 관련 법안들도 산적해 있다.
세월호 특별법 문제만 해도 타결 직후부터 “이제부터가 협상의 시작”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추가로 논의해야 할 사안이 많다. 진상조사위원회 구성이나 배·보상 문제, 동행명령권 위헌소지 등을 매듭지어야 한다. 그간 협상을 전담했던 박 원내대표의 공백 때문에 혼선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박 원내대표의 유임을 내심 기대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 차례 합의가 깨지긴 했지만, 협상 과정을 가장 잘 알고 있는 박 원내대표와 추가 논의를 이어가야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새정치연합 내 갈등으로 새 원내대표를 뽑는 과정이 길어지거나 강경파가 원내대표직을 맡는 상황도 악재다. 이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마음 아프지만 더는 언급할 입장이 아니다”며 “여야를 떠나 국가를 개조하는 차원에서 모든 문제를 협력하고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세월호 특별법, 정부조직법, 유병언법 등이 10월 말에 완결될 수 있도록 국회 세월호법 태스크포스(TF)를 즉각 가동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월호법 후속 사안뿐 아니라 오는 7일부터 20일간 열리는 국정감사와 내년도 예산안 심의 등 빡빡한 정기국회 일정이 기다리고 있다. 새누리당 박대출 대변인은 2일 국회에서 브리핑을 갖고 “제1야당이 안정돼야 정치와 국회가 안정되고, 국정의 축이 안정된다”면서 “새정치연합은 어렵사리 정상화된 정기국회가 차질을 빚지 않도록 원내지도부 공백을 최소화해 달라”고 촉구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
[박영선 사퇴] ‘불안한 與’ 국회 산더미 현안 처리 차질 우려
입력 2014-10-03 0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