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영선 사퇴] 추대? 경선? 새정치연합 후임 대표 뽑기도 쉽지 않네∼

입력 2014-10-03 04:35
후임 원내대표 선출이라는 급박한 과제를 떠안게 된 새정치민주연합은 2일 심하게 출렁였다. 세월호 정국 내내 노출됐던 계파 갈등이 차기 원내대표 선출로 다시 번질 경우 당이 수습할 수 없는 위기 상황으로 빠져들 수 있기 때문이다.

새정치연합 당헌은 원내대표 사퇴 시 한 달 내에 의원총회를 통해 후임을 선출하도록 돼 있다. 하지만 현재 비대위체제로 운영 중인 새정치연합 입장에서는 시간적 여유가 없다. 당장 7일부터 국정감사가 시작되고, 이달 말까지 세월호 특별법과 정부조직법 개정 및 ‘유병언법’ 입안을 마무리 짓기로 못 박았기 때문이다. 원내대표를 경선보다는 추대로 뽑을 것이라는 관측이 강하게 제기되는 이유다.

하지만 후임 원내대표가 당연직 비대위원이라는 점에서 추대를 통한 선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세월호 특별법 마무리 등 어려운 작업을 도맡아야 하고, 상임위 배정이란 원내대표 최대 권한도 이미 소진돼 별다른 소득이 없어 보이지만 비대위원 자리는 쉽게 버릴 수 없는 유혹이다. 비대위는 차기 전당대회 룰을 결정하고, 당내 조직지형을 재편하는 조직강화특위 구성 권한까지 갖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박영선 원내대표 사퇴 직후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즉각 ‘원내대표 선거관리위원회’를 꾸렸다. 선관위원장에는 신기남 의원이 임명됐다. 유기홍 수석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후임 원내대표 선거는 10월 9일을 넘기지 않도록 권고하기로 했다”면서 “선거가 원칙이지만, 사전에 후보끼리 합의가 되면 추대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후임 원내대표 선출 전까지는 김영록 원내수석부대표가 직무를 대행한다.

현재까지는 우윤근 정책위의장 추대론이 힘을 받고 있다. 박 원내대표와 함께 세월호 특별법 협상을 주도한 우 의장이 여당과의 추가 협상에 나서는 것이 유리하다는 논리다. 실제 당내에서는 우 의장 추대 움직임도 곳곳에서 포착된다. 하지만 당내 강경파의 반발이 예상된다.

만약 경선을 치르게 된다면 지난 5월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했던 4선의 이종걸 의원을 비롯해 3선의 김동철 노영민 유인태 최재성 의원 등이 재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비대위원 참여를 요구했던 중도온건파 진영에서도 후보를 낼 가능성이 있다. 비대위가 친노(친노무현) 중심이라는 비판을 받는 상황에서 친노계 대 비노계의 일대일 경쟁에서는 비노계가 우세, 다자경쟁 구도에서는 친노계가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최승욱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