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공정 꼬리잡힌 홈쇼핑… 찬바람 심상찮네

입력 2014-10-02 03:07

홈쇼핑업계가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고 있다. 최근 공정거래위원회가 납품비리 등 중소납품업체들에 대한 TV홈쇼핑 업계의 불공정거래 관행에 제동을 걸기 위해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이는가 하면, 매년 TV홈쇼핑 판매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만과 피해 사례가 속출하고 있는 등 내우외환을 겪고 있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지난달 GS·CJ·현대·롯데 등 TV홈쇼핑 4개사를 방문해 ‘대규모 유통업에서의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대규모유통업법) 위반 여부에 대한 현장 조사에 들어갔다.

공정위는 지난 연말부터 올해 초까지 TV 홈쇼핑 업체와 거래하는 납품업체를 대상으로 서면 실태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지난 5월 납품업체들에 공정위 직원들이 일일이 방문해 홈쇼핑 업체와의 리베이트 수수, 불공정 거래 지속 여부 등 강도 높은 조사를 벌인바 있다.

홈쇼핑의 불공정 행위는 심심치 않게 터져 나왔다. 지난 4월 롯데홈쇼핑 납품비리에 이어 NS홈쇼핑의 ‘카드깡 연루’ 사건이 연이어 발생했다. 지난 2012년에도 NS홈쇼핑과 GS홈쇼핑, 현대홈쇼핑 등 국내 홈쇼핑 업체 관계자 7명과 납품업체 관계자 10여명이 검찰에 적발된바 있다.

이 같은 납품업체 쥐어짜기가 소비자 피해로 이어진 점도 공정위의 조사를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실제 해마다 TV홈쇼핑 관련 피해 사례가 급증했다. 한국소비자원에 접수된 TV홈쇼핑 관련 피해구제 신청이 2011년 272건에서 2013년 374건으로 37.5%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TV홈쇼핑 관련 소비자 상담건수도 지난해 1만5702건에 달했다.

또 최근 3년간(2011년∼2013년) 접수된 TV홈쇼핑 관련 소비자피해 926건을 분석한 결과, 품질이 불량하거나, 부실한 A/S가 414건(44.7%) 등으로 1위를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계약해제·해지를 거절하거나 위약금을 과다 부과하는 사례가 156건(16.8%), 광고내용이나 설명이 실제와 다른 경우가 144건(15.6%), 부작용 발생 등 안전 관련 피해가 50건(5.4%) 등의 순으로 나왔다.

한국소비자원 관계자는 “TV홈쇼핑 피해는 상당기간 경과한 후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문제 발생 시 입증이 곤란하다”며 “업체가 광고 내용을 일정 기간 이상 보존하고 소비자가 원하면 언제든지 열람할 수 있도록 광고 규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최민지 쿠키뉴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