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서울 강남의 성형외과에서 복부지방흡입술을 받던 50대 여성이 호흡곤란 증세를 보이다 끝내 숨졌다. 성형수술 중 사망하는 환자 사례가 잇따르는 상황에서 성형수술 의료분쟁도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남윤인순 의원은 1일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의 ‘진료과목별 상담·조정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2년 444건이던 성형외과 의료분쟁 상담건수가 2013년 731건으로 64.6%나 늘었다고 밝혔다. 2012년 18건이던 성형외과 의료분쟁 조정신청은 2013년 51건으로 급증했고 올 들어서도 7월까지 이미 49건이 접수됐다. 성형외과 의료분쟁 상담건수는 26개 진료과목 중 4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2년 8위에서 껑충 뛰어올랐다.
남윤 의원은 “정부의 관리 소홀, 비전문의의 무분별한 의료 행위, 성형외과 코디네이터와 상담실장의 성형 부추김 현상 등으로 성형 만능주의가 도를 넘어섰다”며 “성형수술의 특성상 부작용이 있어도 적극적으로 드러내지 못하고 합의하는 사례가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의료인이 아닌 성형 코디네이터가 성형수술의 효과와 후유증을 설명하는 것은 무면허 의료행위에 해당할 수 있어 적극적인 단속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성형수술 의료분쟁 급증… “무면허 의료행위 적극 단속을”
입력 2014-10-02 0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