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이란 제재 동결계좌 해제] 이란 제재, 11월엔 풀릴까… 핵협상 최종타결 여전히 안갯속

입력 2014-10-01 04:55

미국을 비롯한 P5+1(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과 이란 간의 핵협상 타결 시한이 두 달도 채 안 남았지만 최종 타결 가능성은 여전히 안갯속이다. 우라늄 농축 문제 등과 관련해 여전히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미 당국 관계자는 지난 25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이란과의 핵협상이 끝난 뒤 “매우 복잡한 상황”이라며 “협상 마감 시한까지 8주가 남아있지만 이는 결코 많은 시간이 아니다”고 AFP통신에 밝혔다. 이란과 서방이 여전히 뚜렷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어 협상 타결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의미다. 이날 협상에는 미국의 존 케리 국무장관, 이란의 모함마드 자바드 자리프 외무장관, 유럽연합(EU) 캐서린 애슈턴 외교담당 최고대표가 참여했다.

이들 국가는 지난해 11월 24일 이란이 고농축 우라늄 생산을 중단하는 대신 서방은 제재를 완화하는 것을 골자로 한 초기 단계 조치를 6개월간 이행하고 늦어도 1년 안에 최종 단계 조치에 대한 협상을 매듭짓기로 합의했다. 이를 위해 양측은 여러 차례 협상을 벌였지만 최종 합의는 거두지 못해 협상 시한을 다음달 24일까지로 연장한 바 있다. 그래도 협상이 지지부진하자 미 행정부는 8월 29일 이란 인사와 기관 30여개를 제재 대상에 추가했다. 이에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은 “미국은 믿지 못할 나라”라고 비난했다. 로하니 대통령이 지난해 8월 미국과의 관계 개선을 공약하며 취임한 뒤 얼마간 진전을 이뤘던 핵협상이 1년 만에 최대 위기를 맞은 것이다.

이슬람 수니파 극단주의 무장세력 ‘이슬람국가(IS)’의 세력 확산을 계기로 미국과 이란의 핵협상이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될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다. 미국이 IS를 격퇴하려면 이란 등 인접국가의 군사적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란 측 관계자가 미국이 핵협상에서 융통성을 보여준다면 이란도 그 대가로 IS 격퇴 전략에 협력할 용의가 있다고 했다는 외신 보도도 있었다. 그러나 미국 정부는 “두 문제를 놓고 거래할 입장에 있지 않다”며 선을 그었다. 25일 열린 유엔 총회에서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로하니 대통령 간 정상회담 개최 여부도 관심이 모아졌지만 이들은 따로 만나지 않았다.

세종=이용상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