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4 지방선거 신규 당선자 573명 재산 공개… 평균 10억여원 성중기 의원 132억 최고

입력 2014-10-01 03:19

지난 6월 4일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새로 선출된 단체장과 교육감, 광역의회의원 등 공직자들이 가구당 평균 10억8000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광역단체장 중에서는 김기현 울산시장이 67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윤장현 광주시장이 8억원으로 가장 적었다. 교육감은 평균재산이 3억5500만원으로 광역단체장(22억3000만원)의 16% 수준이었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6·4 지방선거 신규 당선자 573명의 7월 1일 기준 재산등록사항을 30일자 관보(gwanbo.korea.go.kr)에 게재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개 대상자는 6·4 지방선거에 새로 당선돼 재산등록 의무가 발생한 광역자치단체장 11명, 교육감 8명, 기초자치단체장 92명, 광역의회의원 462명이다. 재선된 단체장과 광역의원 480명은 지난 3월에 재산이 공개돼 이번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기초의회의원은 관할 시·도공직자윤리위원회별로 별도 공개된다.

신규 당선자 573명의 평균재산(배우자 및 부모 등 직계 존·비속 포함)은 4년 전 당선자의 평균재산(8억8000만원)보다 2억원가량 더 많았다.

광역자치단체장 11명의 평균재산은 22억3000원이었고 교육감은 3억5500만원이었다. 기초단체장 92명의 평균재산은 10억7200만원, 광역의원 462명은 10억6400만원으로 집계됐다.

시·도지사 중에는 김기현 울산시장이 67억4673만원을 신고해 가장 많았고 권선택 대전시장(38억7640만원), 서병수 부산시장(35억3047만원) 등이 뒤를 이었다. 윤장현 광주시장은 8억65만원을 신고해 가장 적었다.

교육감 중에는 이재정 경기도교육감이 9억9505만원을 신고해 가장 많았지만 지난 8월 상환한 선거펀드 자금 5억4800만원이 포함된 것이어서 사실상 최고액 신고자는 8억4082만원을 신고한 설동호 대전시교육감이었다. 김병우 충북도교육감은 재산보다 빚이 5억6485만원 더 많았다.

기초단체장 중에는 박우정 전북 고창군수가 87억234만원으로 최고액을 신고했고, 광역의원 중에는 성중기 서울시의원이 132억6336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정부공직자윤리위는 이번에 공개한 재산등록사항을 11월말까지 심사할 예정이다. 심사 결과 잘못 신고한 금액이 3억원 이상이거나 사인 간 채권·채무 등 공식적인 자료 조회가 어려운 ‘비조회성 재산’을 1억원 이상 잘못 신고한 사실이 적발될 경우 관할 지방법원에 과태료 부과처분을 요청할 계획이다.

라동철 선임기자 rdchul@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