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짜리 ‘70년대 음파탐지기’ 41억에 구매… 세월호 구조 못나선 통영함 납품업체 압수수색

입력 2014-09-30 03:50
검찰이 탐색·인양 전문 구조함인 통영함의 납품 비리 의혹에 대해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3부(부장검사 문홍성)는 29일 통영함의 선체고정음파탐지기(HMS)를 납품한 미국 H사의 국내 중계업체와 관련자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납품 사업계획서, 회계장부 등 내부 자료와 컴퓨터 하드디스크를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통영함은 2010년 천안함 침몰 사건을 계기로 ‘국내 기술로 제작된 최첨단 구조함’을 표방하며 1590억원을 투입해 건조된 3500t급 최신 군함이다. 하지만 지난 4월 세월호 침몰 당시 투입되지 못해 논란을 빚었다. 해군이 음파탐지기와 수중무인탐사기 등의 장비가 성능 기준에 못 미친다는 이유로 지난해 10월 인도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감사원은 통영함의 음파탐지기 선정 업무와 관련해 지난 5월부터 특수감사를 벌였다. 방위사업청 함정사업부장으로 재직할 때 납품업체 선정에 관여한 황기철 해군참모총장도 지난 5일 감사원에 나와 조사를 받았다. 통영함은 대우조선해양이 건조했지만 음파탐지기는 방사청이 직접 구매했다.

감사 결과 음파탐지기 성능이 1970년대 건조된 평택함의 기술 수준인 데다 원가도 방사청이 지급한 41억원에 못 미치는 2억원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감사원은 지난 22일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사 의뢰 대상에는 예비역 영관급 장교 두 명도 포함됐다.

검찰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방사청, 납품 관련 업체, 군 관계자들을 소환해 통영함의 음파탐지기 납품 과정과 업체 선정 경위 등을 따질 계획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로비나 금전거래 등이 있었는지 조사할 방침이다.

유성열 기자 nukuva@kmib.co.kr